메뉴

중국에서 만연한 학교 급식 공금 횡령논란

 

중국에서 학교 급식문제가 다시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중국 학교의 급식은 3자 부담이다. 중앙, 지방 정부 그리고 학생이 부담한다.

자연히 학교 급식에 대해서는 세금도 면제된다.

그래서 중국 학교 급식은 싼 가격이 특징이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싼 게 비지떡’이라고 학교 급식이 싸다는 것을 핑계로 음식의 질이 형편없기 마련이다.

그런데 정작 다시 한 번 중국 학교 급식 공급 체계를 뜯어보면 학부모 지급액이 적을 뿐이지, 결코 ‘싼 게 비지떡’은 아닌 상황.

실제 중국 산시성 기율위원회가 학교 급식 실태에 대한 감사를 벌인 결과, 급식 공급 과정의 중간에 ‘검은 손’의 착복이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사실은 곧 중국 전역에 전해졌고, 네티즌들은 “벼룩이 간을 빼먹지”라며 분노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산시성 한 중학교 급식 현장을 소개했다.

“이른 아침, 산시성 린펀시 펀시현 제2중학교에 들어서자 학생식당은 이미 만석이었다. “이모, 소고기 만두 두 개, 계란 하나, 따뜻한 두부국 한 그릇이요!” 식당 창구에서 다양한 메뉴를 바라보며 중3 학생 옌하오가 식사를 고른 뒤 얼굴인식으로 결제했다.

동시에, 식당 주방에서 채소를 다듬고 있던 어머니 옌메이도 결제 알림을 받았다. “6위안(약 1,200 원) 썼네, 오늘은 애가 입맛이 좋은가 보네.”라며 미소 지었다.

매체들은 이 중학교의 급식 센터는 불과 얼마전만 해도 만두와 죽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학생들은 매달 180위안(약 3만 6,036 원)의 급식비를 일괄 납부했으며, 많이 먹든 적게 먹든 요금은 같았다. 그리고 제공되는 음식은 만두와 죽뿐이었던 것이다.

그럼 무엇이 이 중학교 급식의 질을 높였을까? 지난 2023년 4월부터 산시성 기율검사위원회와 감찰위원회는 도덕적 일탈과 부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성의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급식 안전 및 급식 예산 관리에 관한 특별 조사를 벌였다.

6월 초 조사에서, 펀시현 기율감찰 관계자들은 제2중학교 식당 CCTV 영상에서 이상 징후를 발견했다.

식재료 입출고 영상과 입고 전표, 장부를 일일이 대조한 결과, 식자재 입고량과 실제 기록 간 큰 차이가 있었으며, 예를 들어 CCTV에는 당일 돼지고기 입고가 없는데 전표에는 200근(약 120kg)이 입고된 것으로 기재돼 있었다.

결국 식재료 공급업체가 돈을 착복한 것이다. 조사결과 이 중학교 교장 자오멍쑤어의 친동생 자오모량이 식품 공업자였으며, 식당 책임자 캉모는 자오멍쑤어의 전 동료였다.

산시성 기율위는 오랜 기간 동안 학교는 학생들에게 현금을 고정액으로 걷고 이를 캉모가 감시 계좌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운영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조사 결과, 자오멍쑤어는 캉모를 통해 122.89만 위안(약 2억 4,602만 원)의 급식비를 가로챘으며, 동생을 '백색 장갑'(중개인)으로 이용해 161만 위안(약 3억 2,232만 원)의 식자재 비용을 부풀려 횡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율위는 ‘학교 급식’ 분야에서 31건의 문제 단서를 확보했고, 관련자 18명을 징계했다. 2024년 8월, 자오멍쑤어는 당적 및 공직에서 제명되었고, 범죄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중국 교육부도 나섰다. 학교와 교육국에 감찰 제안을 발송하고, 《학교 급식 안전 및 예산 관리 지침》을 제정해 전 과정 추적 가능한 시스템을 마련했다.

이후 펀시 제2중학교는 얼굴인식 결제 시스템을 도입했고, 급식비 수지 공개 게시판을 설치했다. 공급업체는 공개 입찰을 통해 선정했다. 아울러 학부모를 식당 조리원으로 고용해 급식 품질을 감시하고 있으며, 학부모 대표가 급식위원회에 참여해 매월 학부모 공개의 날에 함께 식사를 하고, 영양사의 의견을 반영해 매주 식단을 바꾸고 있다.

지난 2024년 현재까지 산시성 기율감찰기관이 학생 급식비 유용, 입찰 비리, 리베이트 수수 등 문제로 총 1,827건을 조사해 1,994명을 처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