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물류 산업, 시장은 확대하고 있으나 성장세는 한풀 꺾여

 

올해 1~2월 중국의 물류업 총수입은 1조.9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다만 증가율은 전년 연간 증가율보다 0.1%p 낮아졌다.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공급 측의 탄력성도 여전히 강한 상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물류 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2월 물류업 경기지수는 춘제(春節) 연휴로 인해 계절적 영향을 받아 49.3%로 하락했으나, 신규 주문 지수는 50.6%로 확장세를 유지했다. 멍위안은 "이는 춘제 이후 물류업의 신속한 재가동을 반영하며, 업계가 상류 산업의 조정 및 전환 흐름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주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핵심 물류기업의 공급망 계약 주문량이 20% 이상 고속 성장했으며, 통합 물류 사업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대표적으로 순펑(顺丰)과 징둥(京东) 등 주요 물류기업은 스마트 장비, 가전, 의류 업계에 통합 공급망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공급망 비용 절감과 효율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멍위안은 "물류와 제조업의 융합이 지속되면서 산업 간 협업과 공급망 업그레이드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물류 수요 구조가 지속적으로 고도화됨에 따라, 장비 제조 및 첨단 기술 물류 수요가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 기업과 물류 기업 간 협력적 전환도 더욱 빨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서비스 가격 측면에서, 1~2월 물류 시장의 수급이 점진적으로 조정되었으며, 춘제 연휴 기간 공급 축소 효과가 겹치면서 일부 분야에서 공급 과잉 문제가 완화되었다. 이에 따라 서비스 가격은 완만한 안정세를 보였다.

2월 연안(산적화물) 종합 운임지수는 평균 937.02포인트로 전월 대비 3.3% 하락했으나, 하락 폭은 다소 축소되었다. 중국 도로 물류 운임지수는 104.8포인트로 전월 대비 0.8% 하락했다.

기업 경영 측면에서, 춘제 이후 복귀 작업이 원활하게 이어졌으며, 물류 기업의 운영도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었다. 주요 조사에 따르면, 1~2월 핵심 물류기업의 물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으며, 성장률이 55%를 기록했다. 다만, 영업 수익 100위안(약 2만원)당 비용이 0.7위안(약 141원) 증가하며 물류 기업의 비용 부담이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사업 확장 효과가 이를 상쇄하며, 전체적으로 수익성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멍위안은 "대형 물류기업들은 회복세가 뚜렷하지만, 중소 물류기업들은 여전히 운영 압박을 받고 있으며, 이들의 매출 증가율과 수익성은 대기업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시장 전망을 보면, 2월 물류업 경기지수 중 사업 활동 전망 지수는 54.4%로 전월 대비 0.6%p 상승했다. 철도 및 항공 운송업 등 다수 분야에서 전망이 개선되었으며, 해당 지수는 각각 54.6%, 57.1%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