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 직장인 월급 꼬박 10년이상 모아야 집 장만… 중국 집값은 서울보다 심각

 

가계소득을 고려한 서울 지역 집값이 미국 로스앤젤레스(LA)나 영국 런던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그런데 베이징, 상하이는 그런 서울보다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으로 서울에서 연간 가처분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10.3배다. KB국민은행이 실시한 주택가격동향조사를 인용했다.

 

 

서울 지역 가계가 소득을 하나도 쓰지 않고 10년 정도 모아야 집을 장만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비율은 LA(9.3배)나 런던(8.5배)보다 높았고 호주 시드니(12.2배)나 캐나다 벤쿠버(11.8배)보다 약간 낮았다. 세계 주요 도시 수치는 미국 컨설팅업체인 '데모그라피아 인터내셔널' 주택구매력조사 자료를 활용한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같은 시점의 가처분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지만 출처가 다르므로 완전히 단순비교하기 어렵다고는 해도 세계적으로도 서울이 소득대비 집 값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에 비해 중국 대도시 상황은 더욱 심하다. 베이징에서 가처분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은 14.5배나 됐고 상하이도 14.0배로 높았다. 홍콩은 이 비율이 18.1배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글 = 강민주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