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인력 부족 일자리 Top 10...영업원이 1위

 

'영업사원, 배달원, 선반공, 상품 판매원, 마케팅 전문가...'

중국 곳곳에서 넘치는 데 사람이 없어 기업들이 전전긍긍하는 일자리들이다. 영업사원, 상품판매원, 마케팅 전문가 벌써 사람들에게 물건을 파는 직종만 3종이다.

일자리와  노동력은 언제나 미스매칭이 생긴다.

일자리는 비었지만 일하려는 이가 없고, 반대로 일자리는 없고 일하려는 이들이 많은 경우가 다반사다. 모두가 자리 탓이다.

자리라는 게 본래 하나의 값만 가진다. 한 자리에 둘이 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단 한 명만 그 자리를 채우면 되는데, 아무도 그 자리는 앉으려 하지 않는다. 

중국은 인구 대국이다. 그래서 언제나 모자란 게 일자리다. 하지만 그 모자람 가운데도 비어있는 일자리가 있다.

모두가 외면하는 탓이다. 

최근 중국 베이징 중국방송망에 따르면, 중국 인력자원 및 사회보장부(人力资源和社会保障部)가 2022년 2분기 '인력 부족 일자리' 순위를 발표했다.

이번 순위는, 기업이 많은 인력을 원하지만 이에 비해 공급이 적은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일자리이다. 순위는 중국 102개 도시공공취업 서비스 기관에서 조사한 인력 자원 시장 구인 및 구직 데이터에 따라 정해졌다.

영업사원, 배달원, 선반공, 상품 판매원, 마케팅 전문가, 식당 종업원, 경비원, 가사도우미, 전자제품 플레이트 제조공, 청소원이 Top 10 순위에 들었다.

상품 판매를 하는 직종은 사실 힘들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상품이다. 예컨대 애플 판매원은 힘들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것이다. 모두가 줄서서 사려고 하기 때문이다. 애플 판매원은 판매원이라기보다 고객 관리사 정도가 맞을 듯 싶다. 고객의 문의에 응하고, 붐비는 고객들의 안전만 살피면 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결국 회사의 제품이 문제다. 중국에서 판매원들이 힘든 직종에 꼽히는 것은 그만큼 경쟁이 심하고 제품들이 특장점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중저가 제품들의 특징이다. 

'인력자원 및 사회보장부'의 관계자에 따르면, 2022년 1분기와 비교했을 때 중국의 구인 및 구직 인구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제조업의 일력 부족 상태가 지속해서 유지되고 있으며, 전자 정보 산업의 일손 부족 상태가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반도체 칩 제조공 등이 Top 100 순위에 새롭게 올랐으며, 반도체 부품 및 회로 조직공 및 컴퓨터 네트워크 엔지니어의 인력 부족 현상이 더 두드러졌다. 전자제품 플레이트 제조공은 9위로 10위 안에 들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