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무역 10대 수입품...철광석이 1위

중국은 광대한 영토와 풍부한 천연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중국의 거대한 인구로 인해 다양한 소비자 수요가 공급 부족을 초래하므로 많은 상품을 해외에서 수입해야 한다. 그렇다면 중국의 상위 10대 수입 상품은 무엇일까? 수입품의 규모는 얼마나 될까?

 

1. 철광석

2019년에 약 9억7000만t의 철광석을 수입했으며 누적 수입액은 929억 달러로 중국 최대 수입 상품 중 하나이다.

 

2. 원유

중국은 2019년에 4억6200만t의 원유를 수입했으며 평균 수입 가격은 1t당 3273.5위안이었다. 원유는 국가 경제의 다양한 분야에 연료, 원료 및 화학 제품을 제공하며 파라핀, 아스팔트, 액화 가스 및 다양한 제품으로 정제 및 가공된다.

 

3. 석탄

2019년 중국 수입품 중 3위인 석탄 수입 총량은 2억6500만t으로 2018년보다 2810만t 증가했다.

 

4. 천연가스

천연가스는 중국 10대 수입품 중 하나로 고품질, 고효율, 청정 저탄소 에너지로 2019년 누적 수입량은 8711만t에 달했다. 현재 천연가스의 생산, 공급, 저장, 판매 시스템은 완벽하지 않고 불균형하다.

 

5. 콩

2019년 중국의 대두 총수입량은 8551만1000t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해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6. 견과류

2019년 누적 수입량은 4227만t이며 밤, 헤이즐넛, 호두, 땅콩, 마카다미아 등이 해당한다.

 

7. 플라스틱

2019년 1차 성형 플라스틱 누적 수입량은 3344만t, 그 중 1월부터 6월까지 수입액은 약 2636만 달러이다.

 

8. 정제유

2019년 중국은 2725만t의 정제유를 수입했다.

 

9. 철강

해관총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중국의 철강 수입량은 1230만40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했다. 수입액은 141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다.

 

10. 구리

중국은 세계에서 구리 생산이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이지만 여전히 일정 부분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19년 미가공 구리 및 구리 제품의 누적 수입은 397만t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