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뉴질랜드 총리 '중국-솔로몬제도 협정에 실망' 발언에 中네티즌 "어느 나라나 결정권 있어"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중국과 성숙한 관계라고 강조하면서도 솔로몬 제도와 중국간 안보협정 체결에는 실망감을 드러냈다."

최근 연합뉴스가 전한 소식이다. 중국이 솔로몬제도와 안보 협정을 체결하는 데 대한 뉴질랜드의 입장이다. 

이번 협정의 핵심은 중국이 함대를 현지에 파견해 현지에서 물자를 조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중국 해군의 영향력 행사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현재 미국은 쿼드 등 안보 협정으로 태평양 연안의 안보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어떻게든 자국 해군력 확대를 꾀해왔는데 마침내 솔로몬 제도를 통해 그 영향력을 넓히게 된 것이다. 간단히 미중 갈등이 안보문제로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이번 조치는 미국의 우방국에게는 새로운 압박이 되고 있다. 

자연히 뉴질랜드는 안보적 선택을 강요받게 됐다. 중국이냐 미국이냐, 저신다 총리는 중국의 태도에 실망했다면서도 일단은 미국 중심의 안보 협정에 가입하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보도에 따르면 저신다 총리는 미국·영국·호주의 안보동맹인 '오커스'(AUKUS) 가입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저신다 총리는 21일(현지시간) BBC 인터뷰에서 "뉴질랜드에게 중국이 이번 조치에 대해 사전 입장 설명이 없었다는 데 실망한다"면서도 "그렇다고 오커스 가입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뉴질랜드 총리의 고심도 중국 네티즌에게는 오히려 비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중국 네티즌들은 "뉴질랜드가 뭔데, 우리가 그런 것까지 설명해야 하느냐"는 입장을 보였다. 어쩌면 중국 당국의 내심인지도 모른다.

중국과 솔로몬제도의 안전협정을 왜 굳이 당신에게 이해시켜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사람들은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어, 괜히 당신이 신경 쓰네?

 

영연방 국가가 된 것은 애초에 침략과 식민지 때문이었음을 알아야 해.

 

중국과 합작하는 것은 쌍방의 상생이고, 미국과 합작하는 것은 일방적인 혈액공급이기 때문이지.

 

당신은 뭘 모르면서 아는 척하네요.

 

그러면! 미국을 제외하고는, 누구랑 협정을 맺어도 안 편안하지 않겠어?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