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에서 손에 꼽히는 문화유산 Top 5

중국의 문화를 '박대정밀'이라고 한다. 넓기로는 한이 없고, 세밀하기론 끝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 중국 예술작품을 보면, 이 말에 절로 수긍을 하게 한다.

세밀하고 작품의 규모가 한 세대의 사람의 생각을 넘어선 경우가 적지 않다. 세세대대 쌓여간 생각들, 기교들이 보인다는 의미다.

예컨대 명대는 원나라라는 역대 가장 비문화적인 민족인 몽골족의 폭정이 있은 뒤 주중팔(주원장)이라는 땡중이 세운 나라였다. 즉 국가적 문화가 있기 힘들었다.

하지만 명나라는 건국되자 바로 전통의 문화를 곳곳에서 계승하기 시작한다.

과거제와 조용조 제도를 정립해 명청 시대라는 중국 역사의 큰 페이지를 장식한다. 무엇이 그렇게 할 수 있는 원동력이었을까?

바로 중국의 보물들이 계승하고 있는 문화적 소양 덕이었다는 게 적지 않은 전문가들의 견해다. 

중국의 예술작품들은 이런 의미에서 그냥 보물들이 아니다. 그 속에는 오랜 역사의 누적된 사고가 담겨져 있다. 그 사고는 아주 구체적인 것이기도 하고 아주 추상적인 것이기도 하다. 즉 누구나 봐서 알 수 있기도 하고, 누군가 각성을 통해서만 깨달을 수 있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런 중국의 보물들 가운데도 손으로 꼽는 게 있다. 그 몇 가지를 소개한다.

 

 

1. 大禹治水图玉山 (대우치수도옥산)

대우치수도옥산은 청나라 건륭황제가 직접 기획한 조각품으로 진귀한 청백이색과 전옥을 정교하게 다듬어 만들었다. 현재 베이징 고궁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2. 曾侯乙编钟 (증후을편종)

증후을편종은 청동으로 주조된 악기로 전국시대 유물이다. 크고 작은 편원종들이 음조의 높낮이에 따라 대형 종틀에 걸려 있다. 현재 후베이성 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3. 鎏金舞马衔杯纹银壶 (금무마관배 문은호)

금무마관배 문은호는 1970년 산시성 시안시 남교 허자촌에서 출토된 당나라 문화재로 주전자 앞뒤에 조각된 정교한 말 문양이 백미로 꼽힌다.  현재 산시성 역사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4. 金缕玉衣 (금루옥의)

금루옥의는 1995년 허난성 서주 사자산 초왕릉에서 출토됐다. 금실로 백옥, 청옥을 꿰어 만든 수의 유물로 현재 서주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금사 1576g, 백옥 4248점, 청옥 4248점으로 구성된 매우 고귀한 문화재이다.

 

5. 越王勾践剑 (월왕 구천검)

월왕 구천검은 춘추시대 월나라 청동기로 1965년 후베이성 형주시 강릉현 망산초(望山楚) 묘군에서 출토됐다. 크롬이 함유된 금속을 코팅해 수천년 동안 녹슬지 않은 이 유물은 현재 후베이성 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