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1년 중국 치파오 브랜드 Top 5

치파오는 만주족 의상이다. 청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뒤 변발과 함께 한족에게 강요한 만주족 고유의복이다.

치파오는 어찌보면 한족 전통의 의류 발전의 하나의 단절이라고 볼 수 있다.

한나라, 당나라를 거쳐 발전해오던 중화풍의 아시아 전통의상은 청나라의 통일과 함께 중국 내륙에서는 단절되고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고유한 발전을 하게 된다고 보인다.

베트남의 아오자이와 치파오는 묘한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보아 치파오는 중국 변두리 문화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청나라 초기 치파오는 그 같은 아시아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조금씩 현대화하면서 청나라 말기 치파오는 여성미를 최대한 강조한 드레스 형태로 발전한다. 

여성미를 감추려고만 했던 다른 아시아 의상들과 달리 치파오는 여성미를 극한으로 보여주게 된다. 아오자이와 유사하지만 차이가 바로 이점에서 나온다. 베트남 아오자이는 하복을 따로 입지만 치파오는 통으로 된 드레스다. 

기마민족인 만주족이 편하게 입고 언제든 말을 타기 쉽게 하기 위해 옆트임이 생겼다고 한다. 본래 아오자이처럼 바지를 하의로 입었지만, 지금 여성복은 앞서 밝혔듯 드레스 형태로 바꼈다.

다음은 중국에서 유명한 치파오 브랜드다.

 

1.만루란蔓楼兰

1997년 설립된 蔓楼兰은 전통 실크 원단과 현대적인 원단을 더해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액세서리, 선물을 결합한 신중국식 경조사 브랜드다. 오리엔탈리즘과 예술성을 재해석했고, 중국과 서양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줬다.

 

2.타오위메이陶玉梅

1996년 설립된 중국식 의류 관련 디자인 생산과 판매업체로, 브랜드가 우수하고 전문적인 디자이너와 뛰어난 커팅과 시제품 제작을 통해 매월 10여개의 신상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원단을 포함해 다양한 층에서 다양한 소비자가 자신의 소비 정체성에 맞는 중국식 옷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루이푸샹瑞蚨祥REFOSIAN

1862년 설립된 무형문화재 브랜드로 고급 맞춤 제작, 현장 실크 이불 제작 등의 서비스를 주력으로 의류·액세서리·모피·가방적 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제작되고 있다.

 

4.롱펑치파오龙凤旗袍

순수 수공예와 맞춤형 중국식 의류 브랜드로, 주림청(朱林淸)이 창업한 중국식 옷가게에서 시작하여 다른 중국식 옷가게 4곳과 통합하여 설립하였다.

 

5.상하이탄上海滩

1994년 설립된 전 세계 유명 중국식 오리지널 치파오 브랜드로, 홍콩에 첫 번째 매장을 두고 있으며, 上海滩(상하이탄)이라는 이름도 상하이와 그 번화한 생활에서 유래한 것으로, 우수한 치파오와 패션에 깃든 중국 문화의 저력으로 고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