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미얀마·베트남·라오스 접경지대에 '코로나 장벽' 건설...미국의 베트남 장벽 욕하더니

 

중국이 미얀마·베트남·라오스와의 접경지대를 따라 500㎞에 이르는 장벽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사람 등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코로나는 세계 각국의 교류를 차단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도 코로나로 인해 초래되고 있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남부 윈난(雲南)성은 지난해 9월부터 이들 국가와의 접경지역을 따라 장벽을 구축하고 자경단을 조직해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한 미얀마·베트남·라오스로부터의 불법 월경을 막기 위한 감시다.

해당 지역은 평소에도 마약밀매와 인신매매의 쉬운 통로로 이용돼왔다. 지난해 코로나19가 퍼지면서 중국 당국이 아예 장벽을 쌓아 이동을 완전 차단하고 나선 것이다. 

코로나 창궐로 윈난성 루이리(瑞麗)시는 지금껏 네 차례 봉쇄됐었다. 당시 코로나 유행은 모두 해외 유입 사례로 인해 감염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중 지난해 9월 봉쇄는 미얀마에서 불법으로 넘어온 사람들과 관련됐다고 중국 윈난성 정부는 보고 있다.

윈난성 정부는 사건 이후 접경지대를 따라 철조망과 금속울타리,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500㎞에 이르는 접경지대는 밀림과 언덕, 평야, 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윈난일보에 따르면 당국은 수천명의 자경단을 조직, 경비견은 물론이고 드론까지 동원해 일대를 순찰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 윈난성 서쪽 더훙(德宏)에서 조직된 자경단 수만 2만2천명에 달한다. 검문소 수도 136개다.

장벽에는 동작및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됐다. 인공지능(AI) 시스템이 바람이나 낙엽, 야생동물의 움직임을 걸러내고 사람의 소리만 특정하도록 하고 있다. 

고감도 적외선 카메라가 자동으로 움직임을 촬영해 통제센터에서 추가로 살피도록 한다.

하지만 이 같은 장벽만으로 불법 월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아예 밀입국자들이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장벽 아래 땅을 파서 넘어오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분명 과거보다 장벽이 있어 불법월경이 제한되는 효과는 있다는 게 성 정부의 분석이다. 

지난 3월말 윈난일보는 미얀마와 접경지대인 난산(南傘)에서 불법 입국자 5천여명이 붙잡혔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