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5대 무역 파트너 중 1위는 아세안

 

중국의 최대 교역국은 이웃인 아세안이었다.

중국의 아시아 지역에서 위치를 보여주는 말이다. 역사에서 보듯 중국은 경제를 이용해 이웃국들을 압박해왔다. 조공무역이 바로 그 것이다.

최근 중국의 외교에서 '경제력'은 빠지지 않는 주요 무기다.  중국의 5대 교육지역을 보면 중국이 국제 사회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국 세관 총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상품 수출입 총액은 32조 1660억 위안으로 2019년 대비 1.9% 증가했다. 그중 수출은 17조 931억 위안으로 4% 증가했고, 수입은 14조 2300억 위안으로 0.7 % 감소했으며 무역 흑자는 3.7조 위안으로 27.4% 증가했다.

 

중국의 5대 교역 상대국은 아세안, EU, 미국, 일본, 한국 순이며 이들 교역 상대국에 대한 수출입액은 각각 4.74, 4.5, 4.06, 2.2, 1.97조 위안으로 7 % 증가했다.

중국의 영향력은 무역 규모와 비례한다. 중국을 한 나라가 상대하기 어려운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각국이 동시에 견제를 해야 중국에 대한 견제가 가능해진다. 

 

그동안 트럼프는 이점을 보지 못했다. 미국 역시 중국에게는 그저 중요한 교역국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중국이 미국과 맞설 수 있었던 것도 미국과 교역이 위축된다고 해도 다른 나라들과의 교육을 더 늘리면 되기 때문이다. 

 

다행이 미국은 이제 스스로가 중심이 돼 각국을 하나로 묶어 중국과 대응하려 하고 있다. 중국에게는 이전 그 어떤 조치보다 치명적인 조치인 것이다. 

중국이 바이든 미 행정부에게 트럼프보다 강하게 대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음은 중국 주요 교육 지역 순위

 

1위: 아세안

2위: EU

3위: 미국

4위: 일본

5위: 한국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