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베이도우(北斗)위성망 완성선포, 미국과 독자전쟁수행도 가능

 

중국이 26년만에 중국 독자적으로 운용하는 인공위성 항법위치시스템인  '베이도우'(北斗·북두칠성)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출범시켰다.

 

시진핑 주석은 어제 오전 리커챵 총리와 한정 부총리와 함께, 어제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베이더우 최종 3단계 위성 시스템 구축 완성을 선포하고 정식출범을 선포하는 기념식을 가졌다.

 

CCTV 신화사등 중국매체들은, 이날 오전 10시 48분에 시진핑 주석이, " 베이도우 3단계 위성항법시스템의 정식 개통한다" 라며 정식출범을 선포했다고 전했다.

 

한국은 미국의 GPS를 쓰지만, 러시아는 글로나스 그리고 유럽은 갈릴레오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이제 중국도 자체적인 항법시스템을 보유하게 된 것이다.

 

중국의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의 완성은 특히 군사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그동안 중국은 러시아의 글로나스를 기반으로 미국 GPS등을 혼합해 사용했으나, 이제 중국만의 위성으로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을 완성했다는 것이다.

 

이는 이제 러시아의 도움없이도, 가상 적국의 공격무기나 목표지점을 확정하거나 적의 미사일과 항공기는 물론 잠수함등 이동무기의 궤적등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어, 미국등과의 전쟁등 비상상황에 대한 대비를 자유재재로 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시진핑 주석이 리커챵총리와 함께,  대외적으로 특별한 공식 선포식을 가진 의미도 미국에게 독자적인 세계적 군사작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도 담겨있다.

 

중국의 베이도우 항법시스템은 모두 55개의 인공위성으로 구성돼 있는데, 마지막 54, 55번째 통신위성을 지난 6월 23일 창쩡3호 로켓에 실어 우주로 쏘아올려 예정된 지점에 배치하고 시험운행까지를 다 마치고 어제 오늘 시스템완성을 선포한 것이다.

 

중국는 지난 1994년부터 베이도우 자체 항법시스템사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2000년에는 1차 사업완성으로 중국내 위성서비스를 시작했고, 지난 2016년에는 아프리카와 미주를 제외한 아시아 중동 지역의 망을 완성한 2차사업을 거쳐, 이번 3차사업완성으로 베이도우시스템을 시작한지 26년만에 전 지구를 카버할 수 있는 위성항법망을 완성한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