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용서

 

세상에 꼭 한 가지만 더 있어야 한다면?
많은 답이 있을 수 있다. 
나의 답은 ‘용서’容恕다. 
세상에 꼭 한 가지만 더 해질 수 있다면, 
그렇다면 
다른 어떤 것보다 
용서가 
더해지길 바란다.

 

세상에 용서가 없었다면? 
참 상상하기 어렵지만, 세상은 미움과 증오로 가득 찼을 것이다. 
용서, 
그것은 모든 사랑의 시작이요, 
교류의 완성이다.

 

사실 입으로는 쉬워도 
마음으로, 행동으로 하기 힘든 게 용서다. 
오죽했으면 “오늘의 용서 하나가 내일의 세상을 넓힌다"라고 했을까?
그리 어렵고 복잡한 게 용서다.

 

그런데 역시 한자의 세계에서는 
인간 세상 그 복잡한 것들이 단순 명쾌 해진다. 
용과 서,
둘 모두 여성, 어머니의 마음 같은 것이다.

 

먼저 용이다. 한자에서 용은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요즘의 뜻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보다 구체적이다. 
한자 용은 과거 동굴에 있던 창을 의미한다. 
동굴에 같이 산다는 의미다. 
즉 용은 남을 자신의 거처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사실 남을 자신의 거처로 들이는 게 어찌 쉬울까? 
여성이어야, 사랑하는 이를 받아들이고, 군자쯤 돼야, 백성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君子以容民蓄众
군자는 백성을 받아들여 군중을 만든다.
옛사람은 또 말했다.
女为悦者容


여성은 좋아하는 이를 위해 화장을 한다.
여기서 화장을 하다는 말 대신 받아들인다 하여도 잘못됐다 하기 어렵다. 
용은 자연히 얼굴, 화장하다, 꾸미다는 뜻을 지니게 됐다.

용서의 방점은 서에 있다. 
받아들이고 서를 한다는 게 용서의 본질이다. 
모든 게 서에 좌우되는 말이다. 
서란 과연 무엇인가?

 

 

서는 인仁이다. 인의 실천이다. 
자공이 공자에게 
“세상에 평생 실천할 한 마디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묻자, 
공자 답한다. “서恕다.” 그리고 부연을 한다.
己所不欲, 勿施于人
내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은 남에서 시키지 마라. 
이것이 바로 서다. 

 

 

혹자는 공자 사상의 정수가 바로 이 서에 있다고 한다.

참 어렵다. 역시 한자가 명쾌하다. 
서는 갑골자와 금문에는 나타나지 않고, 전서에 들어 자형이 나타난다. 
마음 위에 여성이 표시된 글이다. 
이어 바로 여성 옆에 입구 자가 있는 여 자가 등장한다. 
여성의 순종하는 마음을 뜻한다고 중국 학자들은 본다.

 

 

 

여기 재미있는 사실이 하나 있다.
전서에 앞서 등장하는 자형에서는 용서의 서와 분노의 노가 한뜻으로 쓰였다는 점이다.
노는 무정한 주인의 사역에 반대하는 노비들의 마음까지 담았다고 한다.
사실 노비가 화가 나도 받아들여야지 별 방법이 있었을까?
훗날 용서의 서와 분노의 노는 완전히 그 뜻이 구분됐다.

중국 바이두의 서에 대한 설명은 참으로 그럴듯하다. 
'마음 심心 위에 같을 여如가 있다"라고 본 것이다. 
그래서 그 뜻이 "내 마음같이"가 된다. 풀면, "너 마음의 너처럼 남을 대하라"라는 뜻이라는 것이다. 

 

 

어딘가 공자의 서의 개념과 닿아 있다. 

맹자는 서를 인이라 했다. 혹자는 서가 바로 밝음이라고 했다.
이 밖에 중국에는 이 서와 관련한 많은 명언이 있다. 그중 가슴에 와닿는 게 하나 있다.
以己量人谓之恕
자신으로 남을 가름하는 게 소위 서다.
‘구자도설’에 나오는 말이다. 이제 용서를 좀 알듯싶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