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스위스시계 부럽지 않은 국산브랜드시계 중국인 선호도 베스트 5.

중국의 국산시계 이용비율 다른 어느나라보다 높아, 세계 1류 브랜드 진입 목전.

 

물론 요즘 휴대폰 시대에 특히 학생과 젊은 층에서 시계를 그리 중시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진 시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계는 예물과 장식품의 역할도 매우 중요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중국은 체제와 사회분위기상 자국산 애용이 격려되는 것도 있지만, 워낙 많은 인구의 수요가 뒷받침되고, 국가보급체제에 힘입어 자국산브랜드의 시계생산공장과 인구가 적지 않다.

 

그리고 일찌감치 근대 치욕의 역사였으나 상하이와 텐진 홍콩조차지등을 통해 서방의 기술들이 일찌기 중국에 전파되었고, 이후 신중국성립이후 엄청난 자국산 시계의 수요로 인해 관련 산업의 발전은 한국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였다.

 

1949년 신중국 성립후 대륙에서의 전쟁이 완전히 끝난 50년대 초부터 텐진 상하이에서 동펑 (东风 동풍) 과 베이징표 상하이표 라는 상표를 단 시계들이 나오기 시작했었다.

 

그 중  당시 동펑 (东风 동풍)브랜드를 생산했던 텐진 회사는 지금은 “海鸥” ( 하이오우,  SEA-GULL) 브랜드로 시계를 생산하고 있고 자국산 브랜드 2위에 당당하게 랭크돼 있다.

 

일부 보도를 통해 탐관오리들은 물론 부유층들의 외국산 브랜드선호도 사실이지만, 막강하게 두터운 국내 소비층에 힘입어, 중국의 자국산 시계제조브랜드파워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그리고 자국산 시계를 광고하는 모델( 代言人)들도, 중국최고의 펑샤펑(冯绍峰) 까오웬웬( 高圆圆) 후쥔(胡军) 등 대륙 톱스타들이다.

 

이는 중국의 자국산 탑브랜드 시계들이  디자인이나 가격면에서 이미 세계수준으로 올라갔다는 것을 대변하는 현상들이다.

 

 

 

1위 피에타 FIYTA 飞亚达  :  

 

피에타는 1987년 말 크리스마스를 이틀 앞 둔 12월 23일에, 9명의 기술자들이 20 평방미터가 채 안되는 작업장에서 설립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1993년 선쩐주식시장에 상장된 이후 독보적인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피에타는, 5천년 중국문화를 담은 독특한 소재를 차용해 도자기 그림 조각등을 시계와 결합해 시계 본고장 유럽의 갈채를 받았ek.

 

2008년엔 중국 우주비행성 선저우 7호 (神舟七号) 의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서 볼 수 있는 우주시계를 생산한 이후,  우주용 시계를 도맡아 생산해 오고 있다.

 

2010년 전후에는 5년 연속 매년 연간성장율 50%를 기록하는 등 중국산 시계의 대표브랜드로 세계시장에서 유럽 탑 브랜드들과 경쟁하고 있다. 

 

    

 

2위 하이오우 ( SEA-GULL 海鸥 갈매기라는 뜻의 브랜드) : 

 

2위인 SEA-GULL 브랜드는 동펑(东风)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등 여러 중국이름의 브랜드로, 1955년부터 중국 인민해방군 군용시계와 공무원등 국가기간인원들의 시계를 만들어 왔던 중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회사인 텐진시계창( 天津海鸥手表集团公司) 에서 제작한다.

 

텐진이 바닷가 항구인지라 브랜드를 갈매기로 지었다고 함.

 

 

3위 티엔왕 TIAN WANG 天王表 :

 

1988년 선쩐에서 여성용 필찌식 시계생산을 시작으로 창업. 현재 중국 500대 기업중의 하나. 홍콩증시 상장회사.

 

 

4위 뤄스니 ROSSINI 罗西尼 :

 

1984년 중국남부 광동성 주하이에서 창립했고 현재는 홍콩에 본사가 있으며 싱카포르증권시장에 상장됐다. 아시아 500대 브랜드로 선정됨. 

 


5위 이뽀 EBOHR 依波表 : 

 

EBOHR는 1991년 중국 선쩐에서 설립.  여성쥬얼리시계 브랜드인 “KANA”, 남성용 복합 시계인 “YUFEI-EC”와 같은 패션시계를 비롯해 비교적 많은 이름의 브랜드로 시계를 제작하고 있다.

 

중국 브랜드전문 사이트인 핀파이왕 참조.

 

박혜화기자 kcl@kochina21.com.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