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중국에서 공산당원이 된다는 것

分久必合, 合久必分
fēnjǐu bìhé, héjǐu bìfēn

『三國志演義』에서 나온 말로 나눠진 지가 오래되면 반드시 합쳐지고, 합쳐진 지가 오래되면 반드시 나눠진다는 뜻이다. 중국 역사상 수 많은 왕조가 생겼다가 다시 합쳐지고 다시 나눠졌던 사실을 이른 말이다. 중국의 문명사를 보면 이 속담이 이해가 된다.

 

 

 중국법인에서 대졸신입사원 채용 시 일어난 일이다. 회계학 전공인 한 지원자의 제출서류들을 살펴보다가 깜짝 놀랐다. 성적표에 표기되어 있는 이수 학점들 가운데 '마르크스 철학이론',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 원리', '마오쩌둥 사상 개론', '덩샤오핑 이론', '사상도덕 수양' 등의 사상 정치과목들이 필수이수로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대학, 다른 전공의 지원자들 서류를 보아도 비슷했다. 전공과목 학점만 분리해, 평가를 다시 해야 할지 결정이 쉽지 않았다.

 

 지원서 기본양식에도 특이한 항목이 있다. 공산당원 여부를 묻고 있다. 인사담당 책임자가 옆에서 조언해준다. 특별히 구분할 필요는 없겠지만, 가급적 당원을 채용하는 것이 좋겠다고.

대한민국에서 장교로, 그것도 특공연대 소대장으로 군 복무한 것에 큰 자긍심을 갖고 있던 나로서는 어색한 장면이었다.

 

 공산당원이 된다는 것은 중국 내에서 인재로서 검증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당 자체가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출세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우수한 학업 성적이나 리더십을 보여줘야 하고, 여러 단계의 검증 과정을 통해야 당원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공산당 당원은 매달 급여의 약 2%를 당에 납부한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인들에게 공산당이라는 존재는 무척 낯설다. 그러나 애써 외면한다고 될 사안이 아니다. 2018년 말 현재 중국 공산당 당원 수는 9000만을 넘어섰다. 전국 말단 조직 수는 461만개, 외자계 기업 등 비공기업 법인에도 188만개, 26만5000개의 사회조직 법인이 당 조직을 만들어 전 분야를 장악하고 있다.

 

 몇 해 전에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가 개혁·개방 정책의 공로가 큰 각 분야 인사 100명을 선정하면서, 수상자인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이 공산당원이라는 사실을 공개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사실 마윈 회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중국 공산당을 옹호해왔다. 그는" AI·IoT(사물인터넷)·빅 데이터가 만드는 디지털 정보가 시장 정보보다 가격 결정이나 효율성에서 더 우월하며, 앞으로 계획경제가 시장자본주의를 추월할 것"이라고 중국 공산당의 경제 개발 계획을 지지해왔다.

 

 내년이면 중국 공산당은 창당 100년을 맞는다. 아무리 100세 시대라지만 사람이나 기업 모두 100년을 지속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세계 최다의 당원을 보유한 중국 공산당은 도대체 어떤 비결이 있어서 그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중국에서 신년이 되면 곤욕을 치러야 하는 일이 있다. 금융기관 국내외 CEO들을 지역별로 한 자리에 모아놓고 감독기관장의 신년사를 듣게 한다. 지정석이 있어, 대리참석도 안되고 중간에 이석도 불가능하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필기시험을 본다. 중국어로 된 정부의 금융정책, 지침에 관한 주관식, 객관식 시험이다. 60점이 안되면 재시험을 보아야 한단다. 수십 년 간 갈고 닦은 내공(?)으로 간신히 통과했다.

 

 중국법인 대졸신입사원교육 수료식 후 환영 만찬을 열었다. 청년시절 읽었던 김상협 교수의 ‘모택동 사상’을 배경지식으로, 중국 젊은이들과 토론하고 싶었다. 한 직원이 말한다. 사상정치과목 수업시간마다 자기를 포함한 대부분이, 영어공부를 하거나 스마트 폰 게임을 하는 실정이라고 한다. 일부 학생들은 이런 수업들을 '우민(愚民) 교육의 하나'로 보고 있다고 소개했다.

 

 

 

 

 

 

 

오승찬

연세대 경영학석사

(전) 현대해상 중국법인장

(전) 중국 한국상회 감사

(현) 해동주말 부대표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