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중 무역협상 타결 비관론 ‘솔솔’

서로 “양보하라” 치킨 게임…미 대선까지 진전 없을 듯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에 대한 비관론이 솔솔 제기되고 있다. 서로 “양보하라”고 치킨 게임으로 치달으면서 내년 미국 대통령 선거까지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앞서고 있다.

 

미국과 중국 관리, 의원 그리고 무역전문가는 미중 양국이 '첫 단계' 무역 협상 과정에서 좌절을 겪어, 더 깊은 '제2단계' 무역협상가 타결한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25일 "10월 트럼프과 중국 국무원 류허 부총리가 열린 기자회견에서 첫 단계 협상이 완결되면, 2단계 협상이 즉시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2단계에서 지적 재산권에서 초점을 둘 것이다"고 보도했다. 미국 측은 중국은 미국 기업들로 하여금 기술을 중국 경쟁자들에게 넘기도록 강요함으로써, 사실상 미국의 지적 재산권을 훔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한 소식통은 “2020년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첫 단계 협상 곤경, 그리고 미국이 다른 국가들과 함께 중국한테 압력을 가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 더 큰 진전이 이른 희망을 더욱 약해졌다”고 말했다.

 

무역 전문가와 백악관 소식통에 따르면 미중 첫 단계 무역협상은 2020년까지 최종으로 마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측은 미국에 압력을 가해 더 많은 관세를 취소하려고 요구했고, 트럼프 행정부도 중국 측에 더 많은 요구를 가했다.

 

한 중국 관리는 “미국 대선 전에 제2 단계 협상을 하지 않겠다”며 “부분적으로는 트럼프의 재선이 가능할지 지켜보는 것을 기다리고 싶어서”라고 말했다.

 

“협상을 체결하고 싶은 사람은 우리가 아니라 트럼프”라며 “우리는 기다릴 수 있다”고 한 중국 관리는 로이터 기자에게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