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일대일로’ 국가 투자누계 1000억달러 초과

연선국가 대중국 투자액도 480억달러에 달해

중국과 일대일로(一带一路) 국가들의 양방향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과 일대일로 국가들의 교역액이 전체 대외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질도 높아지고 있다.

 

29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첸커밍(钱克明) 중국 상무부 부(副)부장은 "중국 기업의 일대일로 국가에 대한 투자 누계액이 1000억달러를 넘어섰고, 이들 국가들의 중국에 대한 투자도 480억달러에 이른다"고 밝혔다.

 

중국은 연선 국가의 중대 사업과 단지 건설을 착실히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중마우의대교, 아지철도, 과달항 등 굵직한 프로젝트가 들어서자 중국은 연선국가에 역외경제무역협력구 건설을 추진하여, 누적 3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현지 일자리를 30여만개 창출했다

 

경제자유구역 건설도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은 이미 13개 국경국가와 5개 FTA를 체결했고,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도 추진하면서 핵심 단계로 유라시아경제연합과의 경제무역협정 협상을 실질적으로 마무리했다.

 

중국은 37개국과 양자투자협력팀, 5개국과 무역유동화 워킹그룹, 19개국과 전자상거래 사업체제를 구축해 14개국과 제3자 시장 협력협정을 체결했다고 첸 부장은 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