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 5G폰으로 중국서 기사회생할까

샤오미 등 중국 토종 브랜드에 밀려 지난해 점유율 1% 추락
중국 최초 5G 스마트폰 갤럭시노트10플러스 출시로 반전 노려

2013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통틀어, 삼성은 3억9000만대 출하량으로 세계 시장의 30%를 점유했다. 그러나 2018년 삼성의 휴대전화 시장 점유율은 19%로 떨어졌다. 중국에서는 더욱 쪼그라들어 2013년 18.7%에서 지난해 1% 미만으로 떨어졌다.

 

삼성이 중국 시장에서 실패한 것은, 자체적인 이유 외에 중국 토종 브랜드의 '공격' 때문이기도 하다. 샤오미와 화웨이, 오포(OPPO), 비보 등 중국 토종 브랜드의 부상은 삼성 휴대전화의 중국 시장 최대 라이벌로 떠올랐다. 5G 시대를 맞아 중국 토종 휴대전화 브랜드들이 잇따라 5G폰을 발표했고, 삼성도 5G나 폴더블 시장을 선점하며 판을 뒤집으려 하고 있다.

 

삼성도 당연히 중국 5G 시장을 중시한다. 삼성은 지난 12일 중국 시장에 새 기함인 갤럭시노트10과 삼성의 중국 최초 5G 스마트폰 갤럭시노트10플러스를 출시했다고 연합뉴스가 18일 보도했다.

 

삼성전자는 4분기에 갤럭시A90 5G와 리퍼폰 W20 5G 등 5G 스마트폰 시리즈를 잇따라 출시할 계획이다. 이 중 W20 5G는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고가의 리퍼폰이다.

 

중국 모바일 사업자들이 9월말 5G 상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선보일 예정인 가운데, 삼성전자도 5G 스마트폰 제품과 파운드리(ODM)폰 비중을 계속 확대해, 다양한 제품 라인업으로 중국 사용자 유치에 나설 계획이다.

 

삼성이 연구개발과 신제품 출시 등에 강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삼성이 5G 휴대전화로 중국 시장에서  역전할 수 있을지는 아직 지켜봐야 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