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중 무역전 이제는 지구전이다.

“모든 게 미국이 자초한 일이다. 우리는 끝까지 싸운다.”

중국 공산당의 대외 목소리로 꼽히는 환추스바오가 6일 사설을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에 대한 중국의 첫 입장이다.

미중 무역전이 본격적인 장기화 국면에 돌입하고 있다.

미중 양국은 상하이 담판이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9월 1일부터 3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협상은 잠시 중단된 상태다.

중국은 미국 농산물 수입 중단으로 맞섰고, 이어 5일에는 환율이 ‘포치’(破七;1달러당 7위안이 넘는 환율을 의미) 현상까지 나타나도록 했다.

당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포치’ 현상에 대해 “무역전쟁으로 인해 위안화 가치에 대한 하방 압력이 커진 탓”이라는 변을 내놓았었다.

하지만 시장에서 중국이 위안화 가치 하락을 묵인, 혹은 자의적으로 유도했다고 보고 있다.

환율인상을 통해 미국의 관세 압력을 줄이려 한다는 것이다. 위안화로 가격이 정해져 있는 중국 수출품은 미국에서 달러로 계산이 돼 수출단가가 떨어진다. 결국 떨어진 가격에 매겨지는 관세 역시 줄어드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5일자 중문판 사설을 통해 “중국의 ‘포치’는 중앙은행의 실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했다. 미국의 목소리, 영국의 BBC 등도 “중국이 미국의 관세 인상에 환율인상으로 대항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양상은 미중 무역전이 향후 수년에 걸쳐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당장 중국이 미국의 압력에 조금도 굴하지 않고 맞서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환추스바오는 사설에서 “미국은 황당한 논리로 중국을 몰아세우고 있다”며 “환율조작국 지정은 다분히 정치적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신문은 사설에서 “미 재무부는 환율조작국 지정의 3가지 조건을 내걸고 있다”면서 “그러나 중국은 무역수지 흑자 조항을 빼고는 나머지는 해당되는 게 없다”고 반발했다.

신문은 “모든 게 미국이 자초한 일”이라며 “무역전은 혼자 다치지 않는다. 중국을 타격하는 것은 미국 스스로의 가슴을 때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우리는 끝까지 싸울 것”이라 강조했다.

이 같은 분석은 뉴욕타임스 중문판 역시 마찬가지다. 뉴욕타임스는 5일자 ‘미의 관세 인상, 중국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분석 기사에서 중국의 대응 조치에 대해 보잉기 등 특수 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것 등이 있으나 이는 미국이 거두는 관세 규모에 비해 부족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환율인상을 주 대응방안으로 꼽았다.

뉴욕타임스는 특히 중국에서 시진핑 국가 주석 주재로 최근 열린 경제관련 정치국 회의에서 내수진작을 위한 감세와 유동성 공급 정책을 결정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중국 지도부는 이미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한동안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각오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