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제수영연맹, 쑨양과 스콧에 경고

서구 선수들 쑨양 도핑 의혹으로 경쟁상대로 안 봐

쑨양과 스콧이 국제수영연맹으로부터 비신사적 행위로 경고를 받았다

23일 한국 광주에서 열린 ‘2019년 국제수영연맹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자유형 200m 결선에서 루투아니아의 다나스 랍세스가 1위로 들어왔지만 부정 출발로 실격돼, 2위였던 쑨양가 1분44초로 금메달을 땄다. 일본 선수가 1분45초22로 은메달을 땄고, 러시아의 말류틴 마르틴와 영국의 던컨 스콧이 1분45초로 3위에 올랐다.

 

하지만 시상식에서 스콧이 금메달을 딴 쑨양과 사진 찍을 것을 거부해, 관중의 야유를 받았다. 쑨양은 시상대에서 소리를 치면서 스콧의 비매너에 화답했다.

 

국제수영연맹은 24일 쑨양과 스콧에게 경고 서한을 보냈다. 연맹은 서한에서 국제수영연맹 규약 C12.1.3조에 따라 두 선수가 그 자리에서 부적절한 행동을 한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조례는 ‘멤버들은 이 운동의 명성을 손상시킴으로써 벌을 받는다' 고 규정하고 있다. 해당 징계는 경고로 시작해 벌금으로, 다시 출장정지, 심지어 제명까지 된다.

 

스콧의 이같은 행동은 쑨양의 도핑 의혹에 기인하는데, 미국과 호주 등 서구 선수들은 쑨양을 경쟁자로 생각하지 않고 있다. 지난 2014년 금지약물 복용으로 중국 반도핑기구에서 3개월 솜방망이 징계를 받았던 쑨양은 지난해 9월 도핑 샘플을 고의로 깨트린 의혹을 받고 있어, 조만간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재판을 받을 예정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