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음식 찾게 등 좀 빌려주시죠

옛날 구두쇠 양반이 있었다.
지방에서 높은 직책에 있어 손님을 자주 불러야 했지만,
이 양반은 단 한 번도 제대로 손님을 대접한 적이 없었다.
한 접시에 이것저것 담아 겨우 맛만 보게 하는 정도였다.

 

어느날 하루 연회를 열었는데,
이날 역시 다르지 않았다.
한 접시에 담긴 음식은 한두 젓가락이면 다 먹을 양이었다.

 

모두 자리에 앉자마자
음식을 비우고 물만 마셔야 했다.

 

그때 한 손님이 주인을 불렀다.
"이보시오, 어르신. 여기 등 좀 빌려주시죠."

 

등은 한자다. 중국어로는 灯 dēng이라 발음한다.
흔히 양사 盏 zhǎn과 같이 쓴다.

 

 

말을 들은 주인이 놀라 물었다.
"아니 백주 대낮에 무슨 등이 필요하단 말이요?"
손님이 답했다.
이게 음식이 어디에 갔는지,
아무리 찾아도 없으니,
좀 더 잘 찾기 위해 등이 필요합니다.
주인은 어이없어 했고,
손님들은 모두 난처해하는 주인을 보고 고소해 했다고 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최고인민법원, 직장내 성희롱 근절 지침 발표
"여성이 천하의 반이다." 바로 마오쩌둥의 말이다. 중국 공산당은 이렇게 남녀평등을 앞세워 많은 여성들을 혁명의 최전선으로 내몰았다. 그 덕분에 신중국 건설 초기 여성 혁명가들이 개국 공신 서열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남성 위주의 중국 전통이 되살아났다. 특히 시진핑 정권 출범이래 남성중심주의는 더욱 강화하는 모습이다. 매 정권마다 여성 부총리가 있었지만, 최근 출범한 내각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찾기 힘들다. 올해 여성의 날을 맞아 중국 당국이 직장내 성희롱 근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내놓았다. 역대 처음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최고인민법원이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등 5개 정부 부처와 공동 발표한 이 지침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거나 직장내 성희롱 방지 시스템을 세우는 데 참고로 활용할 수 있다. SCMP는 이번 지침이 중국 민법과 올해 1월 1일 시행된 개정 여성권익보호법 등의 성희롱 관련 조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보호를 강화했다고 전했다. 또 많은 정부 기구가 공동으로 발표한 지침인 만큼 실질적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중국의 '미투'(Me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