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마존, 중국시장서 손 뗀다 '생산제품 거래 사업 중단 예정'

아마존이 중국 내 생산제품 거래 사업을 오는 7월까지 클라우드와 전자책 서비스를 제외하고 모두 중단할 계획이라고 외신들은 발표했다.

 

18일(현지시각)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아마존이 중국 내 생산제품 거래사업을 접을 계획이다.

 

이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은 아마존을 통해 중국에서 만들어진 상품을 더 이상 구매할 수 없다. 다만 미국과 영국, 덴마크 등 해외 상품은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에서 주문이 가능할 예정이다.

 

아마존은 지난 2004년 중국 온라인 쇼핑몰 조요(Joyo)닷컴을 7500만 달러(약 849억4000만 원)에 인수해 2011년 아마존 차이나로 이름을 바꿔 운영해왔다.

 

로이터는 아마존이 앞으로 90일 내에 중국 상품 주문처리센터를 폐쇄와 더불어 중국 내 판매 상인 지원 역시 중단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다만 아마존은 중국 내 클라우드 서비스와 전자책 킨들 서비스 등은 계속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사실상 중국 이커머스 시장은 알리바바 티몰과 징둥닷컴이 장악했다. 지난해 중국 내 두 회사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81.9%에 육박한다.

 

미카엘 패처(Michael Pachter) 웨드부시 증권(Wedbush Securities) 분석가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아마존의 사업 중단 이유에 대해 "아마존이 중국에서 수익을 내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중국 온라인 유통 업체들은 중국 내에서 아마존은 해당되지 않는 큰 이점을 지니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