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위안화, 각국 중앙은행 자산 비중 역대 최고치 기록해

각국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서 위안화 자산 비중이 역대 최고치에 달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각국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서 위안화 자산 비중은 1.89%를 기록하며 호주 달러(1.62%)와 캐나다 달러(1.84%)를 제쳤다. 이는 IMF가 지난 2016년 10월 위안화를 준비자산으로 보고한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4분기 각국 중앙은행이 보유한 위안화 자산은 2027억 9000만 달러(약 230조 원)로 전체 외환보유고에서 1.89%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외환보유고는 10조 730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달러 자산 비중은 61.69%로 3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고, 유로화 비중은 20.69%로 늘어나 2014년 4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 애널리스트는 각국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서 위안화 비중이 늘어난 것은 2016년 말 위안화가 IMF 특별인출권(SDR) 바스켓 통화에 편입되면서 높아진 위안화 자산 선호도를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덧붙여 달러 의존도는 낮아졌고, 외환보유고 다원화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현재 149개 국가 및 지역이 IMF에 외환보유고 통화 구성을 보고하고 있다. IMF는 이들 국가•지역 중앙은행이 보유한 달러, 유로, 파운드, 엔, 스위스프랑, 위안화, 캐나다 달러, 호주 달러 등 8개 통화 자산 비중을 공개한다. 2016년 10월부터 중앙은행 외환보유고 통화 구성에서 위안화를 따로 분류해 전 세계 위안화 외환보유액 상황을 발표하고 있다.

 

스탠더드차타드의 글로벌 G10 외환리서처 대표인 스티븐 잉글랜더는 "중국의 위안 국제화 노력이 점차 일부 결실을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