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위안화, 각국 중앙은행 자산 비중 역대 최고치 기록해

각국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서 위안화 자산 비중이 역대 최고치에 달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각국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서 위안화 자산 비중은 1.89%를 기록하며 호주 달러(1.62%)와 캐나다 달러(1.84%)를 제쳤다. 이는 IMF가 지난 2016년 10월 위안화를 준비자산으로 보고한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4분기 각국 중앙은행이 보유한 위안화 자산은 2027억 9000만 달러(약 230조 원)로 전체 외환보유고에서 1.89%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외환보유고는 10조 730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달러 자산 비중은 61.69%로 3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고, 유로화 비중은 20.69%로 늘어나 2014년 4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 애널리스트는 각국 중앙은행 외환보유고에서 위안화 비중이 늘어난 것은 2016년 말 위안화가 IMF 특별인출권(SDR) 바스켓 통화에 편입되면서 높아진 위안화 자산 선호도를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덧붙여 달러 의존도는 낮아졌고, 외환보유고 다원화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현재 149개 국가 및 지역이 IMF에 외환보유고 통화 구성을 보고하고 있다. IMF는 이들 국가•지역 중앙은행이 보유한 달러, 유로, 파운드, 엔, 스위스프랑, 위안화, 캐나다 달러, 호주 달러 등 8개 통화 자산 비중을 공개한다. 2016년 10월부터 중앙은행 외환보유고 통화 구성에서 위안화를 따로 분류해 전 세계 위안화 외환보유액 상황을 발표하고 있다.

 

스탠더드차타드의 글로벌 G10 외환리서처 대표인 스티븐 잉글랜더는 "중국의 위안 국제화 노력이 점차 일부 결실을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