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의 16일 자 [오늘의 중국]입니다.
미중 무역협상 시작, 류허 방미 첫날
류허 부총리가 미국에 도착해서 미중 무역협상을 진행합니다.
ZTE 영업이 재개되고 일단 출발 분위기는 좋습니다. 테슬라의 중국 공장이 허락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그러나 낙관하기 어려운 게 주중 미국 대사가 한마디 했습니다.
"둘(미국과 중국) 사이에는 이견이 너무 많다."
중국 첫 외사공작위원회 개최 … 왕치산 서열 3위
류허 부총리의 방미와 함께 시진핑 주석은 중앙외사공작위원회 첫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5년간의 중국 외교 목표들이 여기서 결정됩니다.
왕치산 부총리가 시 주석, 리커창 총리에 이어 서열 3위로 랭크됐습니다.
왕치산 부총리는 이와 함께 15일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제10회 중미 공상 지도자와 전임 고관 대화' 미국 대표를 면담했습니다.
서로 동등한 무역 관계가 바로 미중 무역 관계의 기반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타이완 지도 표기에 대해 중국 압박에 캐나다 굴복 … 미국은 "대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
중국 당국이 각국 항공사에 타이완을 국가로 표기하지 못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웃기는 소리"라고 하지만,
캐나다는 결국 굴복을 했습니다. 타이완이 반발하는 데 그저 '윙윙'거릴 뿐입니다.
나라가 힘이 없어지면 이렇게 됩니다.
항공사가 이 정도인데, 의류회사는 오죽하겠습니까?
국제 브랜드인 '갭'도 T 셔츠 중국 지도 모양에 타이완을 뺐다가 결국 사과했습니다.
음, 갭은 미국 회사인데?
역시 미국 정부가 나섰습니다. 자신들 항공사가 압박을 받고 있고, 의류회사가 사과를 하는데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합니다.
"대가가 있을 거야!"
역시 미국입니다. 나라가 힘이 있으면 이렇습니다.
미 국무원 보고서, "중국 국가 차관 지원을 정치와 전략 영향력 증대하는 데 이용하고 있다."
어제오늘 나온 이야기가 아닌데요.
미국 국무원이 정식으로 보고서를 냈습니다. 중국이 빈민국 개발도상국 등에 차관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정치, 전략적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합니다.
보고서의 연구용역은 하버드 대학이 했군요.
연구에 따르면 중국은 일단 목표국을 정하고, 거액의 미 달러 기준의 차관을 제공합니다.
그 뒤 이 나라가 돈을 갚지 못하면 빚을 계속 늘리며,
해당 국가 중국 말을 듣도록 만든다고 하네요.
대표적인 사례로 스리랑카를 꼽았습니다.
이게 솔직히 '고리대금업자'들이 하는 수법 아닌가요?
중국 외교부는 당연히 반박했습니다.
루캉 외교부 대변인은 "학술적 논문에 평론하지 않는다."면서 "어떤 보고서인지 모르지만, 학자 개인의 편견으로 중국을 판단하면 안 된다."라고 했습니다.
타이완 전 마잉주 총통, 국가기밀 누설죄로 4개월 실형.
마잉주 전 총통이 국가 기밀 누설죄로 4개월 형이 확정됐습니다. 마 전 총통은 바로 상소한다고 합니다.
정치보복이라는 것이죠.
타이완은 중국과 가까웠다 멀어지면서 최근 이 같은 간첩사건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친했을 때 우의를 가지고 한 이야기들의 결과입니다.
어찌 보면 "견강부회 정치보복"이고, 어찌 보면 "무책임한 실화로 국익 손해"도 맞고.
음. 앞으로 우리 일이 아니라고 누가 단정할까요?
중국판 카카오 택시, '디디추싱' 등 택시 호출 앱 안전 경고 잇따라
최근 톈진에서 스튜어디스 출신의 미모의 여성이 택시 호출 앱으로 택시를 탔다가 잔혹하게 성폭행 뒤 살해당한 사건이 중국 여론의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결국 사건 혐의자는 강에서 투신 숨진 채 발견돼 사건은 종결되는 듯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사회 여론이 택시 호출 앱의 안전성 문제로 옮겨졌습니다.
우선 런민르바오가 택시 기사들의 황당한 성추행을 고발했습니다.
사진은 택시기사가 여자 승객에게 "예쁘다"라며 가슴을 만지는 장면입니다.
중국 교통부는 한 앱은 탑승객 사진을 보여줘 택시기사로 하여금 타는 승객이 미모의 여자 승객인지 아닌지 미리 알게 해준다고 합니다.
이 앱은 개인 정보 과다 노출 혐의로 현재 조사 중이라고 합니다.
해동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