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0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부산에서 열린다

 

 대한민국 최대 항구 도시인 부산이 2020년 세계선수권대회 개최지로 결정됐다. 국제탁구연맹(ITTF) 1(한국시간) 스웨덴 할름스타드에서 열린 총회에서 2020년 세계선수권대회 개최지로 부산을 선정했다.

 부산은 경합하던 미국의 산호세와 러시아의 예카테린부르크가 막판 유치 신청을 철회해 단독 후보가 됐다. 국내에서 세계탁구선수권대회가 열리는 것은 1948년 대한탁구협회(KTTA) 설립 이후 처음이다.  

1926년에 시작된 세계탁구선수권은 130여 개국, 2,000여 명의 선수와 임원이 참가하는 대형 스포츠 이벤트다. 아시아에서는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에서 열렸고, 1979년엔 북한 평양에서 치러진 적도 있다. 세계탁구선수권은 짝수 해에 단체전이 열리고, 홀수 해에 남녀 단ㆍ복식과 혼합복식 등 개인전이 벌어진다. 부산 대회는 단체전이다.

 

 

‘2020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유치위원회 출범식에서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는 올림픽 탁구 금메달리스트 유남규(왼쪽), 현정화. 

 

 한국 탁구의 오랜 숙원인 세계선수권 유치를 위해 조양호 대한탁구협회 회장은 지난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 방문한 토마스 바이케르트(독일) ITTF 회장에게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유승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역시 활발한 유치 활동을 펼쳤다. 부산은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리스트인  유남규와 현정화를 배출한 한국 탁구의 메카이다. 탁구인들은 2020년 세계탁구선수권 개최가 한국 탁구 재도약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 세계탁구선수권은 2020 3 23일부터 29일까지 열린다. 기사=윤진희 기자 출처=뉴스1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