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무한도전 3월 31일 마지막 방송 예정,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출처 : 뉴스1

10년이 넘는 시간을 우리 곁에 함께 해온 무한도전이 3월 31일에 종영하는 것이 확정됐습니다.
한국 예능계에서 뚜렷한 역사를 남긴 프로그램이자 많은 시청자들이 사랑하는 프로그램이었는데요,
한국 대표 예능 중 하나인만큼 종영 소식에 중국 네티즌 역시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무한도전 종영에 대한 중국 네티즌의 반응, 함께 살펴보시죠! 

 

 

 

 

 

 

 

-GD가 다시 가요제에 참여하는 걸 기다릴 수 없게 됐어

 

 

-광희가 돌아오자 프로그램이 없어져 버렸네

 

 

-응답하라 시리즈가 우리 세대도 다룰 수 있을거야 목격한 것이 참 너무 많아 휴 

 

 

-조세호 참 대단하다, 들어오자마자 이런 상황을 만났는데 주저하지 않고 하차하네, 대단해   

 

 

-박명수는 나오지 마(방송에서 중국 운동 선수에 대해 안 좋게 얘기한 적이 있다고 하네요)

 

 

-무도(무한도전) 안녕

한국 네티즌들과 마찬가지로 중국 네티즌들 역시 무한도전 종영에 대하여 아쉬워 하는 모습들을 보이고 있네요.
10년 이상의 세월 동안 함께 해온 프로그램인만큼 무한도전에 추억을 담고 있는 중국 네티즌들도 많이 있는 모습입니다.
무한도전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현재 지속적으로 논의중이라 하니, 아쉬움을 표하기보단 기대를 갖고 지켜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글=유재일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