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아기 울음소리 갈수록 줄어든다

    지난해 70만명 선이 무너진 유치원생 수가 5년 사이 10만명 이상 더 감소할 전망이다.

 

   한국 교육부에 따르면 2012년부터 줄곧 60만명대였던 유치원생 수는 2016년(4월 1일 기준) 70만4천138명까지 증가했다.

 

   취원율이 50% 안팎까지 높아지고 2010년(백호의 해)과 2012년(흑룡의 해) 일시적으로 출생아 수가 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후 다시 출생아 수가 줄면서 지난해 유치원생은 69만4천631명으로 집계됐다.



    2022년에 유치원에 다닐 나이인 2016년 이후 출생 아동들은 감소세가 더 가파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출생아 수는 40만6천200명, 2017년 출생아 수는 37만7천700명인데 201 8년에도 비슷한 기조가 이어질 경우 2022년 유치원에 갈 나이의 어린이는 110만명대까지 줄어든다.

 

   지난해 취원율이 50.7%인 점을 고려하면 유치원생 수가 50만명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출생아 수는 정부 예상보다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이다. 실제로 국·공립유치원 확대 계획을 준비 중이던 교육부는 지난해 하반기에 추산했던 2022년 기준 유치원생 수를 올해 초 수정했다.

 

지난해 통계청이 내놓은 장래 인구전망(중위추계)에 따라 2017∼201 8년 출생아 수를 각각 40만7천명과 40만6천명으로 잡았는데, 2017년 실제 태어난 아이들이 전망치보다 5만명이나 적었기 때문이다.

 

기사=강지현 기자

사진출처=news1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