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龙椅后边的月亮与太阳、以及连绵不断的山峰

朝鲜王朝时代的宫廷
绘画《日月五峰图》

(图片摘自 : 国立故宫博物馆收藏 www.gogung.go.kr)​

       朝鲜王朝时期,只要大王在的地方,都会挂着同样的画:室内,宫廷正殿的龙椅后边;室外,大王帐篷内的宝座后边。甚至大王驾崩后,他的神位与御真的后面,也得放同样的画。这幅画就是象征着大王的权威及王国太平盛世的,朝鲜王朝时期最典型的宫廷绘画,《日月五峰图》。

​只有大王才能让这幅画完整

​       《日月五峰图》是五座山峰、太阳、月亮、松树以及瀑布对称分布的一幅画。由于这是作为大王的背景图来用的画,所以古人常云,只有大王才能让《日月五峰图》完整。《日月五峰图》,常被称为《日月图》或《昆仑图》,画上《日月五峰图》的屏风,则被称为“五峰屏”。《日月五峰图》象征着王权。因此,民间的普通老百姓不能收藏此花。如今,景福宫、昌德宫、德寿宫等各个宫殿中还留着各种风格的《日月五峰图》。在韩国的一万韩元纸币上,世宗大王的背后也画着《日月五峰图》。

       ​《日月五峰图》是朝鲜王朝最典型的宫廷绘画,象征着大王的权威与尊严,意味着王国的和平与长久。图左,一轮圆月浮上;图右,一轮太阳升起;日月之下,瀑布与松树对称;整幅画中,五座山峰连绵不断。通常,太阳与月亮象征着大王的权力,加上,太阳、月亮、瀑布、松树以及山峰都属于“十长生(按照道教说法,象征着长生不老的十个事物)”,所以《日月五峰图》应是祈愿王国长久的一幅画。另外,儒教经典《诗经·天保》中有一句:“如月之恒,如月之升”,《日月五峰图》也有可能来源于此。太阳象征着大王,月亮象征着王后。太阳与月亮冉冉升起,在同一个空间里,意味着“阴阳之和”。

       ​五座山峰则与古代的“五岳信仰”有关。这是朝鲜半岛古代民间的山神信仰。正如中国的“五岳神”一样,韩国民间也把朝鲜半岛的五座山峰尊为“五座神山”,并向山神祭祀。古代朝鲜人认为,山是离天空最近的地段,是天与地的连接点,所以认为山是神圣之地。朝鲜半岛的“五岳”分别为,东边的“金刚山”、南边的“智异山”、西边的“妙香山”、北边的“白头山”以及中部的“三角山”。可见,龙椅的后面挂着的是,蕴含着“阴阳之和”以及“祈愿朝鲜王朝长久”之意的一幅画。

(图片摘自 : 国立故宫博物馆收藏 www.gogung.go.kr)​

各种风格的《日月五峰图》

​       流传下来的《日月五峰图》作品,大部分都是朝鲜王朝末期的画幅,包括四幅屏、六幅屏、八幅屏、各个御真背后的画图以及供奉神位用的插屏。所有《日月五峰图》都用了同样的材料与结构,但山峰的形态或图画的风格都不同。景福宫的龙椅背后挂着的《日月五峰图》(景福1)制作于19世纪后期,是先画在纸上、再贴到木框上的一个作品,充分地展现着《日月五峰图》特有的图象及构造,但与其他风格的《日月五峰图》相比,其山峰、水沫、松树等细节更加原始、自由。

       昌德宫的《日月五峰图》(昌德6417)是画在丝绸上的六幅屏风。山峰绘画的质感表现很真实,正中央的两座山峰中间,还流着小溪,是其他《日月五峰图》没有的特点。“日月五峰图插屏”,是在一幅很大的《日月五峰图》上,套上相片框一样的木框,再用支架支撑的一个“插屏”,应该是装饰在御真或神位周围的。如今,这些朝鲜王朝宫廷中不同风格的《日月五峰图》,都由韩国国立故宫博物馆收藏并展览。

(图片摘自 : 国立故宫博物馆收藏 www.gogung.go.kr)​
(笔者 林炫辰)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