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곽덕준 회화 20점 첫 선 … ‘1960년대 회화-살을 에는 듯한 시선’전

       곽덕준 회화 20점 첫 선 … ‘1960년대 회화-살을 에는 듯한 시선

 

한국과 일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곽덕준 작가의 20대 시절 회화작품들이 처음으로 국내에 소개된다. 스물세 살에 한쪽 폐를 잘라내는 대수술과 3년간의 생사를 넘나드는 투병생활 끝에 탄생한 곽 작가의 회화작품들에는 정체성을 찾아가는 내면의 투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1937년 일본 교토에서 태어난 곽 작가는 제2차 세계대전 종결 후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따라 일본 국적이 박탈된다. 이 때문에 그에게는 태생부터 지금까지 이중의 정체성이라는 영원한 숙제가 따라다녔다
 작가의 회화들은 합판 위에 석고와 호분으로 두꺼운 층의 요철을 만들어 채색하고 목공용 본드로 코딩한  못으로 선을 긁어내기를 반복해 탄생했다. 곽 작가는 “단순한 작업이 아니어서 2~3시간 작업하고 쉬고 다시 작업을 했다. 나만의 오브제, 회화를 어떻게 만들어낼까 고민하다 도자기 같은 질감을 구현하고 싶어 이런 기법을 만들게 됐다 제작과정을 설명했다. 

 

 

 

       이번 전시명과도 같은 제목의 그의 회화 <살을 에는 듯한 시선>에는 관객을 바라보는 수십개의 , 시선이 등장한다. 곽 작가는 이 시선들에 대해 도려낼 정도의 강렬한 시선, 작가의 시선이라며 처음에는 한국인이라든가 일본인 같은 일상적인 시선이 있겠지만 그것을 뛰어넘은 인간으로서의 시선이라고 생각한다 말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1964년부터 1969년까지 5년간에 걸쳐 제작한 회화 20점과 소묘 34점 총 54점이 관객을 만난다. 
그러나  작가는 1969년 이후 회화와 결별하고 1970년부터 설치, 퍼포먼스, 영상, 사진, 판화 등 다양한 소재로 관념의 절대성을 무너뜨리는 풍자적인 작품들을 발표하고 있다. 그는 그동안 회화 작품을 봉인한 이유에 대해 70년대에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을 시도했는데, 다양한 시도를 하는 작가의 이면에 이런 회화를 할 수 있는 작가라는 걸 나중에 보여주고 싶었다 말했다.

 작가는 다음 계획으로 그의 유명한 작품 <대통령과 > 시리즈의 하나로 <트럼프와 > 준비 중이다. 곽덕준의 개인전 1960년대 회화-살을 에는 듯한 시선전은 10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삼청로 갤러리현대에서 열린다. 글=장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