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곽덕준 회화 20점 첫 선 … ‘1960년대 회화-살을 에는 듯한 시선’전

       곽덕준 회화 20점 첫 선 … ‘1960년대 회화-살을 에는 듯한 시선

 

한국과 일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곽덕준 작가의 20대 시절 회화작품들이 처음으로 국내에 소개된다. 스물세 살에 한쪽 폐를 잘라내는 대수술과 3년간의 생사를 넘나드는 투병생활 끝에 탄생한 곽 작가의 회화작품들에는 정체성을 찾아가는 내면의 투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1937년 일본 교토에서 태어난 곽 작가는 제2차 세계대전 종결 후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따라 일본 국적이 박탈된다. 이 때문에 그에게는 태생부터 지금까지 이중의 정체성이라는 영원한 숙제가 따라다녔다
 작가의 회화들은 합판 위에 석고와 호분으로 두꺼운 층의 요철을 만들어 채색하고 목공용 본드로 코딩한  못으로 선을 긁어내기를 반복해 탄생했다. 곽 작가는 “단순한 작업이 아니어서 2~3시간 작업하고 쉬고 다시 작업을 했다. 나만의 오브제, 회화를 어떻게 만들어낼까 고민하다 도자기 같은 질감을 구현하고 싶어 이런 기법을 만들게 됐다 제작과정을 설명했다. 

 

 

 

       이번 전시명과도 같은 제목의 그의 회화 <살을 에는 듯한 시선>에는 관객을 바라보는 수십개의 , 시선이 등장한다. 곽 작가는 이 시선들에 대해 도려낼 정도의 강렬한 시선, 작가의 시선이라며 처음에는 한국인이라든가 일본인 같은 일상적인 시선이 있겠지만 그것을 뛰어넘은 인간으로서의 시선이라고 생각한다 말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1964년부터 1969년까지 5년간에 걸쳐 제작한 회화 20점과 소묘 34점 총 54점이 관객을 만난다. 
그러나  작가는 1969년 이후 회화와 결별하고 1970년부터 설치, 퍼포먼스, 영상, 사진, 판화 등 다양한 소재로 관념의 절대성을 무너뜨리는 풍자적인 작품들을 발표하고 있다. 그는 그동안 회화 작품을 봉인한 이유에 대해 70년대에 다양한 분야의 작품들을 시도했는데, 다양한 시도를 하는 작가의 이면에 이런 회화를 할 수 있는 작가라는 걸 나중에 보여주고 싶었다 말했다.

 작가는 다음 계획으로 그의 유명한 작품 <대통령과 > 시리즈의 하나로 <트럼프와 > 준비 중이다. 곽덕준의 개인전 1960년대 회화-살을 에는 듯한 시선전은 10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삼청로 갤러리현대에서 열린다. 글=장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