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반도의 겨울이 끝나고, 봄이 오나?


       한반도 해빙 무드가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9일 고위급회담이 열리면서 이를 계기로 한반도 평화 정착의 새로운 단초가 마련될 지 주목된다. 일단 한국은 북측과 평창올림픽 참여 문제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남북 고위급 회담이 한반도 북핵문제의 전환점이   있다는 기대는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이를 반증하듯 고위급회담을 앞두고 미국과 중국이 잇따라 지지를 표시하고, 한반도 6자 회담 수석 대표들이 속속 한국을 찾았다.

 

 

       

        한국 정부는 지난 6일 조명균 통일장관을 수석대표로 하고 천해성 통일차관과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안문현 국무총리실 심의관, 김기홍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기획사무차장 등으로 구성한 대표단 명단을 북측에 전했다.

이는 과거 남북 장관급회담 대표단이 통상 장관을 수석대표로 하고 관계부처 ·국장이 포함됐던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남북 대화를 100% 지지한다”며, “대화가 올림픽을 넘어서까지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 메릴랜드 주의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공화당 의회 지도자들과 신년 계획을 의논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위원장과 전화통화도   있다며 북미 대화 가능성의 여지도 남겼다.

 

 

       5일 한국을 찾은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부장 겸 한반도사무특별대표도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남북 한의 접촉과 대화에 환영과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기자 김샛별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