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갈등이 해소 국면임에도 불구하고 현대, 기아자동차의 중국 매출은 여전히 하향세다.
17일 현대·기아차와 증권업계에 따르면 현대차(현지 합작사 베이징현대)는 11월 중국에서 모두 9만5천12대를 팔았다. 이는 바로 전월인 10월(8만16대)보다 18.7% 많은 것이지만, 지난해 같은달(12만7천8대)과 비교하면 25.2% 적은 양이다.
상반기 50%대에 이르던 현대차의 중국 판매 감소율(전년 동기 대비)은 ▲ 8월 35.4% ▲ 9월 18.4% ▲ 10월 11.1%로 잇따라 줄면서 회복 기대를 키웠다. 하지만 11월 다시 감소 폭이 25%로 뛰면서 여전히 중국 내 상황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기아차(둥펑웨디가이)는 11월 한달 중국에서 5만3대를 판매했다. 10월보다는 17.6% 늘었지만, 작년 10월(4만2천505대)보다는 37.1%나 감소한 실적이다. 10월의 감소율(39.3%)과 비교해 뚜렷한 개선이 없었다.
올해 들어 11월까지 누적 판매량을 봐도 현대차는 66만4천368대로 작년 같은 기간(99만6천8대)보다 여전히 33.3% 부족한 상태다. 기아차 역시 11월까지 판매량(30만5천185대)이 1년 전(57만3천199대)보다 46.8%나 급감했다.
현대·기아차 합산으로도 지난달 판매량(14만5천15대)은 작년 11월(20만6천512대)보다 29.8%, 1~11월 판매량(96만9천553대)도 지난해 같은 기간(156만9천207대)보다 38.2% 줄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아직 사드 여파가 이어지고 있다고 봐야 한다”며 “판매 부진 장기화로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협력사와 판매 딜러들도 매출 하락 등 혹독한 시련을 겪은 만큼 판매가 완전히 정상화되기까지는 일정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