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반도체는 성장가도

 

 

  

 올해 국내 반도체 매출이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동시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모바일디 (D)시장점유율이 85.6%를 기록했다.

 26일 반도체 시장조사업체인 아이시(IC)인사이츠가 내놓은 ‘2017 맥클린 보고서개정판을 보면, 올해 삼성전자 반도체 매출은 656억달러, 에스케이(SK)하이닉스는 262억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두 업체 것을 합치면 918억달러(1008천억원)에 이른다. 국내 반도체 매출이 100조원을 넘기는 처음이다.

 국내 증권가 전망은 이보다 낙관적이다. 삼성전자의 올 반도체 매출은 743650(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763천억원(김동원 케이티(KB)증권 연구원), 에스케이하이닉스는 297천억(최도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303천억원(이순학 한화투자증권 연구원) 정도로 점쳐졌다. 대략 104~106조원 정도로 맥클린 보고서 전망치보다 높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반도체 매출은 511600억원, 에스케이하이닉스는 171980억원이었다. 둘을 합치면 683580억원으로, 올해 100조원을 넘는다면 1년 사이에 50% 이상 증가하는 셈이다. 반도체 시장이수퍼 사이클’(장기 호황)을 맞아 가격이 급등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삼성전자와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주력 제품인 디(D)램과 낸드플래시 등은 올해 기업용 서버와 데이터센터 등의 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급등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