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 경기가 꿈틀거리고 있다.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3년 만에 최고로 호조를 보였다. 일본과 유럽이 쌍끌이로 글로벌 경기를 견인하고 있다. 한국은 인도네시아, 태국 등과 나란히 하위권에 머물렀다.

 26일 블룸버그가 집계한 10월 마킷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에 따르면 10월 글로벌 PMI 53.5를 보였다. 이는 지난 7(52.8)부터 4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수치가 공개된 2014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조업 PMI는 기업을 상대로 신규주문, 생산, 고용, 재고량 등을 설문 조사해 집계하는 경기 지표다. PMI 50을 웃돌면 경기 확장을, 밑돌면 경기 위축을 뜻한다.

이처럼 글로벌 경기가 호조를 보이는 것은 일본과 유럽이 쌍두마차로 확장세를 견인한 덕택이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10 PMI 58.5에 달해 글로벌 평균을 훌쩍 웃돌았으며, 2011 2월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특히 유럽 경제의 맏형인 독일이 60.6으로 조사 대상 28개국 중 가장 높았다. 네덜란드(60.4), 오스트리아(59.4) 경제도 쾌속 질주했다.

특히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친() 기업 기조가 퍼지고 있는 프랑스가 56.1로 약진했다.

 11월에도 유로존 제조업 PMI는 잠정치 기준 60.8로 집계돼 2000 4월 이후 17 7개월(2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눈앞에 뒀다. 일본 경기도 가속 페달을 밟았다. 10 52.8에 이어 11월 잠정치가 53.8로 나타나 2014 3월 이후 최고치를 예고했다.

이에 일본 제조업들의 투자도 급증세다. 일본 주요 기업들의 내년 설비투자액이 올해에 비해 16%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다. 일본 경제의 거품이 절정에 달한 199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가 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최근 일본 상장기업과 자본금 1억 엔 이상의 주요 기업(금융권 제외) 1176곳을 상대로 '설비투자동향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년 4월부터인 2017회계연도에 이들이 계획한 설비투자액이 총 262213억 엔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올해에 비해 15.8% 늘어나는 것이다. 증가폭이 일본 경제의 거품이 절정에 달한 1990년의 16.5% 이후 가장 크다.

미국에도 순풍이 불었다. 10 PMI 54.6으로 올해 2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허리케인 피해에서 벗어나 공급망이 정상화하고 소기업이 활력을 되찾은 덕분이다.

 그러나 한국은 글로벌 활황에서 앞서 나가지 못했다. 10 PMI 50.2로 확장세를 뜻하는 50을 넘기긴 했지만 전월(50.6)보다 하락했다. 한국은 28개국 중 멕시코(49.2), 말레이시아(49.6), 태국(49.8), 인도네시아(50.1)에 이어 끝에서 5위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