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최저임금 인상 탓에 야간업소 대폭 줄 듯

 

 

 

 

 한국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야간업소들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한국 편의점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점주들은 인건비 등의 부담이 큰 야간영업을 하지 않기 위해 각자 본사와 협의 중이다. 계상혁 편의점가맹점주협의회장은야간영업을 하면 인건비가 평균 300만원 가량 나오지만, 그 정도의 수입은 내지 못한다현재 밤에 7시간 정도 문을 닫을 수 있도록 업계에서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자정부터 오전 7시까지, 혹은 오전 1시부터 8시까지, 또는 11시부터 6시까지 등 여러 가지 안을 논의하고 있으나 본사에서는 고객 불만 등을 이유로 난색을 보이고 있다.

 현재 편의점 심야영업시간 기준은 오전 1시부터 6시다. 편의점주는 6개월간 해당 시간대에 영업 손실이 날 경우 영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만 본사는 본사가 직접 매장을 빌려 점주에게 위탁하는 점포들이 있는 만큼 영업을 오래 할수록 유리해 야간영업을 하지 않는 매장에는 전기료 등 보조금을 삭감하기도 한다.

 서울의 한 가스충전소는 야간 근무 인원을 3명에서 2명으로 줄이기로 했다. 현재 직원 3명이 24시간 3교대를 하고 있지만, 직원을 2명으로 줄이는 대신 심야 시간대는 셀프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주유소 업계는 이런 현상이 전국 주유소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문식 한국주유소협회장은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내년에 1천여 개 주유소가 셀프주유소로 전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