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현충사내 일왕 상징 나무, 사당 밖으로 쫓겨나

 

 

 

 충남 아산 현충사 내에 있는 일본 특산종 나무 '금송'이 자리를 옮긴다. 금송은 일반적으로 일본 왕을 상징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한국 문화재청에 따르면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는 지난 8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회의에서 금송의 이식을 포함한 현충사 조경 정비 계획을 심의해 가결했다. 이 금송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70 2월 심었다. 그러나 금송은 일왕을 상징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어서 충무공 이순신의 정신과 위업을 선양하기 위해 세워진 현충사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문화재위원회는 2000년 이후 금송 이전에 관한 안건을 세 차례 심의했으나, 나무의 역사성과 시대성을 이유로 존치를 결정한 바 있다. 현충사는 금송 외에도 큰 나무 13그루를 옮겨 심거나 제거하고, 조릿대와 눈주목 등 관목도 정비할 방침이다. 본격적인 나무 이전 작업은 내년 봄부터 시작해 9∼10월께 완료할 예정이다.

 다만 현충사 현판 교체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박정희 전 대통령의 글씨를 새긴 현판을 숙종의 글씨로 만든 현판으로 바꿀지는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받아본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