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7년 한국 대학생들은 빚쟁이?

 

 

 

  

 청년, 대학생들의 빚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5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청년·대학생 금융 실태조사결과, 설문에 응한 대학생 850명 중 26.6%가 돈을 벌고 있다. 대부분(95.1%)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인 임시·일용근로 형태다. 복수 응답으로 나타난 근로 목적은 용돈(73.9%)이나 생활비(49.1%) 마련이다. 이밖에 학자금 준비(16.4%), 미래 준비(3.1%), 주거비(2.7%) 등이다. 금융위 관계자는대부분 자기계발보다 용돈·생활비 마련 목적으로 일하는 것이라며학업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학생 청년은 대학에 가지 않았거나 대학을 졸업한 젊은이들인데, 이들은 19.7%가 일이 없다. ‘청년 백수인 것이다.

 비학생 청년 실업률은 9.2%. 한국 전체 실업률(3.4%)의 약 3배에 달한다. 이들이 취업하기까지 보낸 시간도 적잖다. 6개월 미만이 54.4%, 6개월∼1년이 27.9%, 1∼2년이 12.0%, 2년 이상이 5.8%였다. 이들은 취업준비 기간에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생활비(84.1%)와 학원·교재비(25.8%)가 큰 어려움으로 꼽혔다. 구직 중인 경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응답률이 80.8%에 달했다.

 대학생과 비학생 청년의 수입·지출은 상반된 모습이었다. 대학생 850명의 수입은 월평균 501000. 월평균 지출은 1022000원이다. 매월 52만원 적자인 셈이다. 지출은 등록금 등 교육비가 554000원으로 절반을 넘었다. 생활비 368000, 주거비 96000, 대출상환금 2000원이다. 학자금 납부는 88.1%가 부모에 의존했다.

비학생 청년의 경우 월 평균 수입은 1576000원으로, 대학생의 3배를 넘었다. 지출은 월평균 893000원으로 대학생보다 적었다. 대학생과 반대로 70만원가량 흑자다. 교육비 부담(69000)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대신 생활비가 736000원으로 대학생의 2배에 달했다. 이들은 61.3%가 자금 부족을 호소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