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제 시장 바구니도 명품 시대?

  

 

 

 

 국제 패션 트랜드가 편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도무지 이해가 안된다고 하지만, 수백만원 짜리 명품 시장바구니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실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열광하는 ‘베트멍’이라는 브랜드는 배송업체 ‘DHL’ 유니폼 같은 티셔츠를 185파운드(약 27만5000원)에 팔았다. 또 나오는 족족 품절·리셀(웃돈을 붙여 재판매) 대란을 일으키는 ‘슈프림’은 바리깡, 삽, 벽돌, 젓가락, 술병 같은 걸 내놨다.

 럭셔리 브랜드 ‘발렌시아가’는 베트멍 디자이너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영입하고, 곧 가죽으로 만든 ‘이케아 가방’(2145달러·약 242만원) ‘할머니 세탁 가방’(1850달러·약 208만원)을 선보였다.

 최근 이같은 현상의 특징을 꼽아 보면, ▲인스타그램 같은 소셜미디어에서 눈길을 확실히 끌 수 있는 디자인 ▲불량 청소년·변두리·비주류의 하위문화를 럭셔리로 재해석 ▲유머러스함 등이다.

 특히 ‘어그로’(온라인에서 논쟁·관심을 끌어 모으는 행위를 일컫는 인터넷 용어)가 중요해 보인다.

 한 트렌드 분석가는 가디언에 “베트멍은 자본주의를 ‘키치’(저속하고 조악한 B급 문화)하게 해석할 수 있을 만큼 영리하다”며 “요즘은 럭셔리를 정의하는 방식이 달라졌다. 관건은 ‘시각적인 주목도’를 얼마나 끌어 모으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