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 1~10월 중 인터넷 서비스 주요 기업 매출 총액 1조5000억 위안 육박

 

‘1조 4,776억 위안’

한화로 약 288조 1,763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10월 간 일정 규모 이상의 인터넷 관련 서비스 기업들의 매출 총액이다.

다만 최근 각국의 규제 장벽을 만나 성장은 주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중국의 ‘인터넷+’는 글로벌 각국의 견제를 받고 있다.

중국 ‘인터넷+’ 이 가진 폭발력이 역시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인터넷+’는 기존 ‘세계 공장’으로서 제조 기능과 IT은 온라인 광고 유통과 판매를 더한 것을 말한다. 간단히 호랑이에 날개를 단 형국으로 중국이 글로벌 산업 생태계의 핵심 근간이 되겠다는 야심 찬 포부다.

 

9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월부터 10월까지 중국 규모 이상의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기업들이 인터넷 사업 매출 1조 4,776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3분기보다 0.4%p 하락했다.

 

연구개발 비용은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했다. 1월부터 10월까지 중국 규모 이상의 인터넷 기업들은 총 785억 5,000만 위안(약 15조 3,196억 원)을 연구개발에 투입하여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3분기보다 1.4%p 상승했다.

분야별로는 정보 서비스 분야 기업들의 매출이 성장세를 이어갔고, 생활 서비스 분야 기업들의 매출은 소폭 증가했다. 1월부터 10월까지 뉴스, 검색, 소셜, 게임, 음악 및 영상 등 정보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들의 인터넷 사업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으며, 지역 생활, 차량 렌트 및 호출, 여행, 금융 서비스, 자동차, 주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들의 매출은 2.1%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절반 이상의 지역에서 인터넷 사업 매출이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1월부터 10월까지 인터넷 사업 누적 매출이 상위 5위인 베이징, 상하이, 광둥, 저장, 톈진이 총 1조 2,239억 위안(약 238조 6,972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9% 늘었다. 이는 중국 전역(지역 간 기업 제외) 인터넷 사업 매출의 82.9%를 차지하는 수치다.

전국적으로 인터넷 사업 매출이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성(구, 시)은 16개로, 이 중 간쑤, 구이저우, 안후이는 20%를 초과하는 증가율을 보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