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자심득: 유한 도(道)는 완전한 도가 아니다.

 

편집자 주: 본 시리즈 '노자심득'은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이야기다. 노자는 유가의 공자도, 도가의 장자도 스승으로 여겼던 이다. 세상에 딱 한 권의 책 도덕경을 남겼다. 5000자의 도덕경은 총 81개의 장으로, 37장까지를 도경, 44장을 덕경이라고 한다. 

노자는 이 도덕경을 통해 모든 것을 주관하는 하나의 원리가 있음을 제시하고, 그 원리를 따르라 권한다. 원리를 따르면 흥하고 따르지 않으면 망한다 한다.

하지만 묘한 게 그 원리가 도대체 무엇인지, 노자는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것을 네가 안다 하는 순간, 그 도는 무엇인가 변질된 도라고 한다. 묘한 말이지만,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노자의 생각에 공감을 하게 된다.

노자가 말하는 원칙 앞에서 스스로를 숙이게 되고, 순응하게 된다. 이에 수천년 장구한 동양의 역사에서 도덕경은 이 원칙, 천지창조의 진리로 인도하는 비서(秘籍)로 여겨졌다.

하지만 그 난해한 문구 탓에 아쉽게도 오늘날, 특히 한국에서 노자는 잊혀가는 인물, 도덕경은 잊혀져 가는 책이 됐다. 많은 이들이 도덕경을 읽은 현인이 남긴 말에는 감탄하면서 정작 노자의 말은 읽지 않는다.

이번 시리즈는 이에 노자의 생각, 노자에 대한 집필자의 생각을 나누고자 마련됐다. 노자가 이야기 하듯 진리는 하나지만, 그 진리는 무수한 다른 형태로 발현된다. 마치 서로 다른 듯 하지만 결국 하나인 것이 진정한 진리요, 노자가 이야기하는 도다. 그래서 도덕경에 대한 수많은 생각들은 다 틀리면서도 다 맞는 하나로 귀결된다. 

이번 시리즈가 하나의 진리에 대한 우리 사회 개개인들의 추구에 작은 도움이 됐으면 한다.

 


 

"네가 꽃이라 하니, 그저 네게 꽃인 것이다. 안 부른다고 꽃이 꽃이 아니더냐?"

존재에 대한 인신과 진정한 존재에 대한 성찰이 도덕경의 시작이다. 

 

있고, 없고는 종이 한 장 차이다.

문턱 하나의 구분이다.

 

도덕경의 1장이 이야기하는 진리다.

유(有)와 무(無)

있고, 없고의 차이다.

 

무엇이 유요, 무엇이 무인가?

노자는 도(道)를

먼저 이야기한다.

 

도는 유와 무를 관통하는 하나다.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도는 그 사이에

문(門)을

두고 있다.

 

만물이 있는 문의 이쪽은

있음이 있고,

문의 저쪽은 없음이 있다.

 

유는 언제나

구체적이다.

틀이 있고,

모습이 있다.

 

모든 게 유한한 게

바로 유의 세계다.

 

반면, 없음에는

비구체적이며,

틀이 없고,

모습이 없다.

 

모든 게 무한한 게

바로 무의 세계다.

 

도는 존재를

존재로 있게 하는

에너지다.

 

유한의

유의 세계에서는

존재가

틀이 있고,

유한하지만,

 

무한의

무의 세계에서는

존재가

무한하다.

항상(恒常) 그렇다.

 

항(恒)은 태양이

뜨는 하늘의 도리요.

상(常)은

별이 가는 하늘의 길이다.

 

유한은 결국

무한을 따르게 된다.

 

유한의 존재인

사람이 묻는다.

 

“도란 무엇인가?”,

“도라는 게 있기는 한가?”

 

노자가 답한다.

 

“道可道,非常道;名可名,非常名。无,名天地之始;有,名万物之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 명천지지시; 유, 명만물지모)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