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중국발 직구 8881만 5000건으로 전년 대비 70.3% 증가

 

 

한국 시장을 향한 중국 소비재 유통 플랫폼들의 공습이 가열차다. 중국의 소비재 유통 플랫폼들이 우수한 가성비를 내세운 제품들로 한국 소비시장을 한 평 한 평 점령해가고 있다.

가성비도 낮지만, 한중 간 지리적으로 가까운 덕에 유통 기간도 중국 유통 플랫폼들이 점령한 미국이나, 유럽 등 어떤 시장보다 짧다. 

17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한국으로 배송된 전자상거래 물품 건수는 8881만 5000건으로 전년(5215만 4000건) 대비 70.3%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통관된 전자상거래 물품이 1억 3144만 3000건으로 전년 대비 36.7%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전체 해외직구가 늘어나는 규모보다 중국발 직구 규모가 더 크게 증가한 것이다.

중국발 직구(직접구매) 규모는 2020년 2748만 3000건, 2021년 4395만 4000건, 2022년 5215만 4000건, 2023년 8881만 5000건으로 매년 꾸준히 늘었다.

전체 해외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43%, 2021년 50%, 2022년 54%, 2023년 68%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금액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중국발 직구 금액은 23억 5900만 달러로 전년(14억 8800만 달러) 대비 58.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해외직구가 47억 2500만달러에서 52억 7천 800만달러로 11.7% 증가한 것보다 5배가량 크게 늘었다.

테무,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 온라인 플랫폼이 국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중국발 직구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발 직구 규모가 대폭 증가하면서 이와 관련한 소비자 민원 건수도 급증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알리익스프레스 관련으로 접수된 소비자 민원 건수는 673건으로 2022년(228건) 대비 세 배에 달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