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 1위 향해 질주하는 중국의 원전(原電) 굴기

현재 중국은 반도체, 우주항공, 신에너지차, 원자력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권 진입을 목표로 이른바 굴기(崛起)를 실현 중이다.

그 중 원전 분야는 어느 누구도 따라오기 힘들 정도로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자주화율이 이미 90%를 돌파했으며 동시에 40기 이상의 원전을 건설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능력을 보유하는 등 원전 기술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 436기(총 설비용량 39만1699MWe) 가운데 중국은 55기(5만3286MWe)로 미국(93기, 9만5835MWe), 프랑스(56기, 6만1370MWe)에 이어 3위에 올라 있다. 한국의 가동 원전 25기(2만4489MWe) 두 배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중국의 위상은 더 올라간다. 전 세계 건설 원전의 약 40%(59기 중 24기)를 차지해 압도적인 1위에 올라있다. 향후 10여년 간 중국 동남부 해안을 중심으로 100기 이상의 원전이 새로 만들어지면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글로벌 원전 가동 1위 국가로 우뚝 서게 된다.

대기오염 주범 석탄발전소의 대안으로 ‘원전’ 선택

 

중국이 이처럼 신들린 듯 원전을 지어대는 가장 큰 이유는 대기오염의 주범인 석탄화력발전소의 대안으로 원전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시진핑 정부는 2020년 국제사회에 제시한 쌍탄(雙炭) 목표(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정점을 찍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 완료를 위해 원전 설비용량을 2025년 7000만㎾로 늘리고, 2035년에는 2억㎾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를 위해 매년 8~10기의 신규 원전을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중국 정부 계획대로 원전이 건설되면 중국내 발전 부문에서 원전의 비중은 현재 5%에서 2035년 10%, 2050년에는 14.5%까지 늘어나게 된다. 물론 그만큼 석탄화력발전의 비중은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원전은 탄소 배출 감소라는 외에 경제 활성화 측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라늄 광석 탐사 및 채굴부터 시작해 원전 부지 선정, 원자로 설계 및 시공, 원전 가동 및 유지보수, 원전 해체에 이르기까지 원전 한 기를 건설해 운영하는 데는 천문학적인 금액의 투자와 수만 명의 고용 창출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지난 9월 27일 첫 삽을 뜬 롄장 원전 프로젝트의 경우 2028년까지 총 1300억 위안(23조 40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롄장 원전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는 각각 정격 용량이 125만㎾인 원자력 발전소 2기를 건설하는 것으로 설계 운영 수명은 60년에 달한다. 2028년 총 설치용량 862만㎾의 첨단 CAP1000 시리즈 3세대 수동형 가압경수로 원자력발전소 6기 건설이 완료되면 연간 발전량 약 702억㎾h의 연안 원자력발전소가 탄생하게 된다.

특히 롄장 1호기의 경우 중국 최초로 해수 2차 순환 냉각 기술을 채택했다. 이는 원전 가동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에 실어 바다로 운반하는 기존 원전과 달리 열을 대기로 방출하는 초대형 냉각탑을 여러 개 설치하는 친환경적 방식이다.

롄장 원전이 정식으로 가동되면 중국의 연간 석탄 소비량은 약 2007.6만t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약 14만8000㏊ 면적에 활엽수림을 조성하는 것과 맞먹는다.

한편 원전은 수력, 석탄, 천연가스, 태양광, 풍력, 지열 등 전력 생산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자랑한다.

지난해 중국 원전은 연간 영업이익 712억 8600만 위안을 달성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순이익만 90억 9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6% 증가했다.

 

사막에서도 가동 가능한 원전 건설 추진

 

중국 국가원자력안전국은 지난 6월에는 토륨 원자로에 대한 첫 가동 승인을 했다.

토륨 원자로는 기존 원자로보다 열효율이 높으면서도 냉각수 등 물 사용량이 적어 해안가가 아닌 지역, 특히 물이 부족한 사막에서도 원전을 가동할 수 있게 된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