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6.18 쇼핑 페스티벌, 티몰 인기 판매 화장품 브랜드 Top 10

 

'18억7355만 위안'

한화로 약 3370억 원이다. 중국 유명 플랫품에서 1위로 팔린 한 화장품 브랜드의 매출액이다. 일년, 한달도 아니고 지난 6.18 쇼핑 축제 기간에만 팔린 금액이다. 중국 화장품 시장의 규모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중국 화장품 시장은 이게 다가 아니다. 이미 중학교 여학생까지 화장을 하는 한국, 일본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중국은 이제 막 성숙하기 시작한 단계다.

중국 대도시 여성 직장인들이 이제야 거의 모두가 화장을 하는 상황이다. 아직 베이징의 여대생 절반이 화장을 하지 않고 있다. 수억 명에 달하는 여대생, 여고생, 여중생들이 모두 화장을 하게 되면 중국 화장품 시장은 지금 규모에서 최소 5배 이상 커지게 될 것이라는 게 많은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중국 시장, 절대 놓치거나 포기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 그룹은 C2C(개인 간 거래)에 초점을 맞춘 플랫폼 '타오바오(淘寶, Taobao)'와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에 주력하는 온라인 플랫폼 '티몰(天猫, Tmall)'을 운영한다.

21일 티몰이 올해 6.18 쇼핑 축제 기간에 판매된 화장품 매출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브랜드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LOREAL 18억7355만 위안

2위 Lancome 17억1394만 위안

3위 Estee Lauder 16억512만 위안

4위 Olay 13억9018만 위안

5위 PROYA 10억4713만 위안

6위 SkinCeuticals 9억8194만 위안

7위 커푸메이(可复美) 8억9429만 위안

8위 YAMAN 8억2307만 위안

9위 WINONA 6억2269만 위안

10위 SHISEIDO 5억8193만 위안

 

1~3위는 LOREAL, Lancome, Estee Lauder가 이름을 올렸다. 전년 대비 매출이 각각 47%, 50%, 43% 증가했다.

한국 화장품 브랜드로는 설화수가 가장 높은 18위(2억6198만 위안)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8%의 매출 증가를 이루었다.

중국의 상반기 최대 온라인 쇼핑 행사인 올해 6.18 쇼핑 축제 판매 실적을 살펴보면 라이브 방송이 제품 판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