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대학교 학생 수 순위 Top 10, 1위 지린대 7만1826명

 

14억 인구의 중국은 순위의 나라다. 인구가 많다 보니, 다양한 접근 방식의 통계를 내고 순위를 매겨 평가하고 있다.

중국을 바라보는 전문가들이 시각에선 때론 계량화에 매몰된 단순 비교가 되기도 하지만, 워낙 인구가 많은 상태에서 보다 더 나은 조건의 대상을 고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생각도 든다는 게 공통된 입장이다.

중국 대학 평가도 비슷하다. 다양한 기준에서 우수 대학을 선정하기도 하지만, 현재 얼마나 많은 재학생을 보유하고 있는지도 중요한 평가 잣대가 된다.

재학생들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훗날 사회 곳곳에 진출한 동문들이 많다는 것이고, 사회 진출한 동문들이 많다는 것은 '꽌시(關係)'가 중요한 중국에선 뭘 해도 득이 된다. 

중국에서 교육의 질 평가 방식에서는 당연히 베이징대, 칭화대, 저장대 등이 순위에 꼽힌다. 

그럼 재학생이 많은 대학은 어떤 대학들이 있을까? 

지린대학과 정저우대학이 꼽혔다.  둘 모두 재학생 수만 7만 명을 훌쩍 넘기고 있다. 지린성 창춘시에 위치한 지린대학은 국가 교육부 직속의 국립대학이다. 법대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배출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중국 교육부가 2023년 기준 대학별 재학생 통계 자료를 최근 발표했다. 재학생이 많은 대학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지린대학교 7만1826명

2위 정저우대학교 7만1269명

3위 쓰촨대학교 6만924명

4위 산둥대학교 5만9605명

5위 화중과기(科技)대학교 5만7413명

6위 중난대학교 5만6832명

7위 우한대학교 5만6267명

8위 우한리공(理工)대학교 5만5775명

9위 저장대학교 5만3673명

10위 중산대학교 5만2168명

 

1~3위를 차지한 지린대, 정저우대, 쓰촨대는 재학생이 6만 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어 10위 중산대까지 재학생 수가 5만 명 이상을 기록했다. 저장대학은 교육의 질로도 중국에서 5위 내 드는 대학이고, 우한대는 신중국 창립 이전 부터 중국에서 중요한 교육기관의 역할을 해온 전통을 자랑하는 대학이다. 

베이징대와 칭화대는 전체 재학생 순위에서는 30위권 밖이었지만 연구 중심 대학답게 석사, 박사 과정 학생 수는 선두권을 유지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