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저리금리 기조에 부동산 값만 올라

   

ⓒ news1

 

 

 

 저금리 기조 속에 풀린 돈이 부동산에 절반 이상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1천313조3천54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1천191조6천376억원)와 비교하면 121조7천169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이 중 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 잔액과 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을 합한 값은 693조2천143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64조8천85억원 증가했다. 전체 가계대출 증가분(121조7천169억원)의 절반 이상인 53.3%가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 들어간 것이다. 

여기에 보험사나 여신전문기관의 주택담보대출까지 더하면 전체 가계대출에서 주택으로 흘러간 비율은 더 높아진다.

 이런 모습은 가계뿐 아니라 산업 대출에서도 마찬가지다. 지난 2분기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 잔액의 합은 1천15조9천921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45조3천51억원(4.7%) 늘어났다. 이 중 부동산 및 임대업의 대출 잔액은 187조4천541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3조4천106억원(14.3%) 증가했다. 전체 산업 대출 잔액 증가분의 절반 이상(51.7%)이 부동산 및 임대업으로 흘러간 셈이다.

 반면 제조업의 대출 잔액은 331조7천1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3천190억원(0.4%) 늘어나는 데 그쳤다. 부동산 및 임대업 대출 잔액 증가분이 제조업의 18배에 달하고, 증가율로 따지면 36배 가량 차이 나는 것이다. 

 

 이처럼 부동산으로 자금이 쏠리면서 부동산 가격도 크게 뛰고 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국민 대차대조표 통계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주택 시가총액은 3천732조222억원으로 집계됐다.

글 = 강지현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