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 글로벌 타이어 기업 순위 Top 75에 중국 30개 포함

 

네 바퀴로 굴러가는 게 자동차다. 두 바퀴로 굴러가는 게 자전거, 오토바이로 대변되는 이륜차다. 아직 도로 위의 이동기구는 모두 바퀴로 이동이 이뤄진다. 

언젠가는 이 공식도 깨지겠지만, 아직까지 인류가 만든 도로 이동 방식의 최적은 바퀴다. 타이어는 이 바퀴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휠을 감싸 공기 저항부분을 만들어 도로에 최적으로 마찰해 이동하도록 도와준다. 

이 바퀴가 얼마나 팔렸느냐 하는 것은 한 국가의 자동차 산업, 모빌리티 산업이 어느 정도 규모인지를 보여주는 척도다. 

특히 타이어는 내구성, 강도 등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글로벌 자동차 타이어 시장에서 누가 강자인지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구도를 보는 관점이 된다. 

미국 '타이어 비즈니스(Tire Business)'가 최근 '2022년 글로벌 타이어 75대 기업 순위를 발표했다.

상위 75개 기업의 2021년 기준 매출액은 총 1775억 달러로 2020년 대비 17.3% 증가했다. 상위 10개 기업의 매출이 전 세계 타이어 기업 매출의 약 60%를 차지했다.

 

1위 미쉐린(Michelin), 프랑스

2위 브리지스톤(BRIDGESTONE), 일본

3위 굿이어(Goodyear), 미국

4위 콘티넨탈(Continental AG), 독일

5위 스미토모(SUMITOMO), 일본

6위 피렐리(PIRELLI), 이탈리아

7위 한국타이어

8위 중처고무(中策橡胶, ZC Rubber), 중국

 

세계 타이어 업계는 미쉐린, 브리지스톤, 굿이어가 굳건한 3강 체제를 구축한 가운데 콘티넨탈, 스미토모, 피렐리까지 6개 회사를 글로벌 '톱6'로 분류한다.

'타이어 비지니스'의 발표에서도 모두가 아는 프랑스의 미쉐린이 1위, 일본의 브리지스톤이 2위다. 3위는 미국의 굿이어가 차지했다. 

한국의 한국타이어가 7위로 10권에 들었지만 상위와 격차는 여전히 적지 않다. 한국의 뒤를 중국이 바로 뒤쫓는 형국이다. 

중국은 중국 최대 타이어 업체인 중처고무(中策橡胶, ZC Rubber)가 글로벌 8위에 이름을 올렸다.

중처고무 외에 중국 타이어 업체는 글로벌 75대 기업의 약 40%인 30개를 차지했다. 대만 기업 4개까지 포함하면 전체의 절반에 해당된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