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 디지털 경제 기업 Top 5, 1위 징둥그룹

 

베이징, 상하이, 선전은 중국의 경제 3대 도시다. 특히 금융과 IT가 집중돼 중국의 4차 혁명을 이끌고 있다.

그 중에서도 베이징은 중국의 정치 수도이기도 하다. 나머지 두 도시가 경제적으로는 앞설지 몰라도 정치적 배경을 쌓기 위해서는 베이징에서 사업을 하는 게 우선이다. 중국의 많은 기업이 베이징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실 그 때문에 베이징의 집값은 여전히 높다. 세계적인 수준이다. 

최근 베이징기업연합회 및 베이징시기업가협회가 베이징 100대 기업 발전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베이징 디지털 경제 기업 Top 5는 다음과 같다.

징둥과 샤오미가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역시 모두 IT 플랫폼 기업들이다. 중국의 이 분야 사업은 전도가 무궁하다. 사실 인류는 온라인에 들어서는 순간, 흑인이건 백인이건 생물학적 인종 문제는 중요하지 않게 된다. 오로지 얼마나 많은 네티즌이 활동해 인터넷 빅데이터를 생산해 내느냐가 중요할 뿐이다. 

중국은 이 점에서 세계 최대의 네티즌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에서 디지털 경제가 갈수록 중요해지는 대목이다.

 

1위 징둥그룹

2위 샤오미그룹

3위 바이두망로기술유한회사

4위 넷이즈유도회사

5위 베이커공고유한회사

 

해당 순위는 지난해 영업수입, 디지털 경제 기업 100대 순위, 첨단 기업 100대 순위, 연구 개발 투자, 연구 개발 강도, 보유 특허 수, 발명 특허 수, 매출 이윤율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다.

1~3위는 징둥그룹, 샤오미그룹, 바이두망로기술유한회사가 이름을 올렸다.

특히 넷이즈유도회사가 4위를 차지했는데,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40.1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85.9% 성장했다. 또한 지난해 연구 개발 비용은 6.0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3.2% 증가했다.

한편 중국정보통신기술학회(China Academ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가 발표한 '글로벌 디지털 경제 백서(2022)'에 따르면 2021년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는 7조1000억 달러로 세계 2위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