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땅덩어리가 큰 중국은 한 나라지만, 그 경제 규모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30여 개 작은 국가들의 연방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다.
중국은 지역 간 경제여건이 확연히 다르다. 도시를 중심으로 경제 발전을 이끌어내고, 다시 도시와 도시 간의 경제 공급망을 연결하면서 국가의 큰 경제 틀을 완성해 가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 도시 발전을 이해하는 게 중국 경제를 이해하는 한 축이 된다.
최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도시권(都市圈) 발전력 백서’가 발표됐다. 도시권이라는 말 그대로 도시를 중심으로 한 경제 구역을 구분해 평가한 것이다. 이번 백서는 중국의 핵심 도시 중심도, 인구 경제 활력, 산업 클러스터 혁신, 지역 협력 연결, 상업 소비 잠재력 등을 지표로 평가했다.
도표는 도시 권역별 경제 밸류체인을 보여준다. 도표에서 보여지듯 상하이 도시권을 중심으로 동부권 도시권역들이 묶였고, 다시 이 서부 내륙의 도시 권역들과 한 선으로 이어졌다. 10위권 안에 이름을 올린 도시권 중 4개 지역이 창장(長江)삼각주에 위치해 있으며, 2개 지역은 주강(珠江)삼각주에 위치해 있다. 10위권내 핵심 도시는 1선 또는 신1선 도시다.
1위 상하이대도시권(上海大都市圈)
2위 선전도시권(深圳都市圈)
3위 쑤시창도시권(苏锡常都市圈)
4위 광저우도시권(广州都市圈)
5위 베이징도시권(北京都市圈)
6위 항저우도시권(杭州都市圈)
7위 난징도시권(南京都市圈)
8위 정저우도시권(郑州都市圈)
9위 청두도시권(成都都市圈)
10위 시안도시권(西安都市圈)
순위는 도시 경제규모와 비슷하지만 조금 차이가 있다. 이번 순위에서 1~5위는 상하이대도시권, 선전도시권, 쑤시창도시권, 광저우도시권, 베이징도시권이 차지했다. 특히 장쑤성의 쑤저우(蘇州), 우시(無錫), 창저우(常州)를 아우르는 쑤시창도시권이 광저우와 베이징을 앞서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