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월 중국 브랜드 TV 사용자 만족도 Top 5, 1위 TCL

 

세계의 거실을 점령한 것은 한국이다. 한국의 삼성과 LG가 만든 TV가 세계 주요국의 거실마다 설치돼 있다.

중국이라고 다르지 않다. 지금도 중국의 좀 산다고 하는 집마다 한국산 TV가 안방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한국의 아성에 도전하는 중국 제품들의 기세가 무섭다. 

그동안 저가 상품에 치중해 수익을 올려왔던 중국 가전 회사들이 이제는 프리미엄 시장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최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업체들이 기존 보급형 제품군 위주의 TV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프리미엄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9월 2-6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22'에서 중국 최대 TV 기업인 TCL은 98인치 미니 LED TV를 비롯해 초대형, 초고화질 TV 제품들을 대거 전시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공식 후원사인 하이센스도 올레드 TV를 비롯해 프리미엄 라인업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최근 중국 소비자 대상 11월 TV 브랜드 사용자 만족도 조사 보고서가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조사했으며 소비자의 TV 사용 경험, 구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브랜드 선호도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됐다. 소비자 만족도 순위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TCL

2위 화웨이(华为)

3위 하이센스(海信)

4위 창홍(长虹)

5위 소니(索尼)

 

조사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85.6점으로 TCL, 화웨이(华为), 하이센스(海信)의 만족도가 높았다. 3개 브랜드는 각각 89.3점, 88.6점, 87.2점을 달성하며 1~3위를 차지했고, 창홍(长虹)과 소니(索尼)가 4~5위를 차지했다. 창홍과 소니는 각각 86.7점, 85.7점을 기록했다. 삼성은 82.1점으로 10위를 차지했다.

구매 후 만족도 부분에 대해서는 TCL이 12.3%로 가장 높았다. 하이센스는 4.1%, 샤오미는 11%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TCL의 구매 후 만족도는 압도적으로 높았다.

고객 충성도 부분에서도 TCL이 50.1%로 1위를 차지했다. Top 5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TCL

2위 하이센스

3위 화웨이

4위 소니

5위 샤오미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