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 시장 침체가 올해 들어서도 지속되고 있다. 중국 가계 자산의 70% 가량이 부동산이다. 자칫 부동산 시장 붕괴에 따라 중국 가계 자산 버블이 꺼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중국 부동산 정보업체 커얼루이(克而瑞)부동산연구센터가 지난 1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29개 중점 도시의 주택 거래 면적은 작년 동기와 전월 대비 각각 46%, 37% 감소했다. 지난달 6일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 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공식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지는 등 전체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4대 '1선 도시'로 불리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의 주택 거래 면적은 작년 동기와 전월 대비 각각 38%, 21% 감소했다. 특히 선전시의 경우, 1월 중고주택 거래량이 작년 동월보다 70% 이상 하락한 1557채로 최근 10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 당국은 유동성 증대로 치솟는 집값을 누르기 위해 2020년 하반기부터 '3대 레드라인'이라는 불리는 엄격한 부채비율 규제를 도입하는 등 부동산 산업을 대대적으로 규제했다. 하지만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30%를 차지하는 부동산 산업의 심각한 위축이 중국 경기 급
중국의 국제관계 핵심 싱크탱크가 “미중 갈등으로 중국의 IT 산업이 한계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대만 중앙통신사는 3일 베이징대 국제전략연구소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과 미국 간 과학기술 디커플링 이후 중국이 더 큰 타격을 입었으며 그 결과 중국의 IT 산업이 한계에 봉착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대 국제전략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과학기술 디커플링 전략이 중국의 선진 기술 확보와 인재 유치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중국은 디커플링 이후 반도체 제조 등 대부분의 기술과 산업 분야에서 현저하게 뒤처졌을 뿐 아니라 기술 진공상태에 빠졌다”며 “특히 중국이 최근 급성장했다고 자부하는 AI(인공지능) 분야에서도 미국에 크게 뒤처져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중국이 자부하는 항공우주 분야 역시 미국에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항공우주 분야는 미중 간 상호 의존이 적은 분야이지만 중국은 여전히 핵심 부품을 미국과 다른 서방 국가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미중 갈등 국면에서 중국 IT 산업이 한계에 봉착한 근본 이유로 인재 부족을 들었다. AI 분야의 경우에 고급 인재의 34%만 중국에 남고 56%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정부가 후원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가 3월 정식 론칭을 앞두고 일부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6일 보도했다. 중국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에는 반대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빠르게 현실화하는 데 적극적이다. BSN은 중국 국영기업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이온페이와 관영 싱크탱크인 국가정보센터가 후원하며 글로벌 시장과 분리된 독자적인 대체불가토큰(NFT - Non Fungible Token)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 'BSN-DDC'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어떤 가상화폐와도 연계되지 않는 NFT 인프라를 구축해 개인이나 기업이 NFT를 발행·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의 인식값을 부여, 영상·그림·음악 등을 복제 불가능한 콘텐츠로 만들 수 있어 신종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중국 정부는 모든 종류의 가상화폐 거래를 금지하고 있다. 이에 BSN은 지정된 기관이 통제할 수 있는 '개방되고 허가받은 블록체인'(OPB - open permissioned blockchains)을 활용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누구나 접속할
중국은 미국과의 경쟁 국면에서 반도체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설계, 제조, 설비 등 반도체 산업 체인을 국산화하는 ‘반도체 굴기’를 강력하게 추진 중이다. 그 결과 지난해 중국 내 반도체 생산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7일 중국 국가통계국 발표 자료를 인용해 2021년 중국 내 반도체 집적회로(IC) 생산량이 3594억개로 전년 대비 33.3%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통계에는 중국 업체들을 비롯해 삼성전자, TSMC, 인텔 등 중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이 생산하는 반도체 제품이 모두 포함됐다. SCMP는 “전년도 증가율 16.2%의 배에 달하는 생산량 급증에는 중국 당국의 반도체 자급 노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최근 수년간 정부 직접 투자, 파격적 세제 혜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자국 반도체 산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해왔다. 하지만 아직 중국 기업들과 세계 정상급 업체들과의 기술 격차는 상당히 큰 편으로 여전히 중국은 반도체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CPU),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등 시스템 반도체는 물론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도 대량으로
중국 지방 정부들이 잇따라 메타버스 관련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나섰다. 중국은 지방의 메타버스를 지방정부가 자체적으로 적극 개발하고 있다. 네이버 등 기업이 주도하는 우리의 경우와 사뭇 다른 모습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가 각각 향후 5년간의 메타버스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고 17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우한 정부는 메타버스와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을 실물 경제와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허페이 정부는 메타버스와 같은 첨단 분야에서 여러 선도 기업과 제품을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상하이(上海) 정부는 지난달 30일 발표한 기술산업 5개년 계획에서 메타버스를 지원하는 핵심 기술의 연구·개발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후난(湖南)성이 유명 관광지 장자제(張家界·장가계)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항저우(杭州) 정부도 학자와 기업 대표들로 구성된 '메타버스 위원회'를 설립했다. 한편 중국 관영매체들은 메타버스를 둘러싼 이상 열기를 투기 행위로 보고 이미 지난해부터 경고에 나서는 모양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중국 내 대체불가토큰(NFT - Non Fungible Token)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더 뜨거워지는 양상이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진보한 형태다. 블록체인기술을 통해 온라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가 가능해지면서 무조건 복제가 가능한 온라인에 제한적 생산이라는 예술적 특성을 갖도록 해준 것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당국의 강력한 가상자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NFT 붐이 일고 있다고 12일 보도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의 인식값을 부여, 영상·그림·음악 등을 복제 불가능한 콘텐츠로 재탄생시킨다. 지난해 3월 디지털 예술가 비플이 NFT를 적용한 작품이 크리스티 경매에서 6930만 달러(약 817억 원)에 팔리면서 투자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NFT가 신종 디지털 자산으로 떠오르면서 지난해 판매액은 전년 대비 무려 200배가량 증가한 약 140억 달러에 달했다. SCMP에 따르면 현재 중국 당국은 가상자산을 통한 투기나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NFT 상품의 구매만 가능할 뿐 되팔아 수익을 거두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알리바바, 텐센트, 징둥닷컴, 비리비리, 바이두, 샤오미 등도 NFT 상
올해도 신기록이 나올까? 중국 베이징시 신규 번호판이 배정됐다. 10만개 가운데 7만 개가 신에너지 차량에 할당됐다. 현재 베이징은 차량 급증을 막기 위해 '번호판 추첨제'를 시행 중이다. 매년 특정 순서의 번호들은 경매가 이뤄진다. 예컨대 8888 등 중국인이 특히 좋아하는 번호값은 억대가 넘는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1일 베이징시가 올해 신규로 배정할 차량 번호판 10만 개 중 7만 개를 신에너지차에 할당했다고 보도했다. 신에너지차는 순수 전기차(B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량(PHEV), 수소전기차 등을 말한다. 베이징시는 신에너지차에 대한 높은 수요를 감안해 지난해보다 1만 개 늘어난 7만 개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반면 내연기관 차량은 지난해 4만 개에서 올해 3만 개로 줄였다. 신화통신은 베이징시 신규 번호판 배정에서 보듯 중국 자동차 시장이 신에너지차를 중심으로 빠르게 변환중이라고 전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자동차 시장 판매량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2610만 대로 예상되는데, 이 중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340만대로 전년 대비 150% 증가했다. 신에너지차 판매 성장세에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이 큰 역할을 한 것으
206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에 맞춰 중국의 해상 풍력 시설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은 탄소중립에 찬성하면서 자신들의 처지를 생각해 시기에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중국신문망은 중국화넝그룹이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시 좡허(庄河) 앞바다에 건설한 북방지역 최대 규모의 해상 풍력 발전소가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고 30일 보도했다. 좡허 해상 풍력 발전소는 평균 수심 30m, 면적 114.2㎢의 해수면에 초대형 풍력 발전기 25대가 설치됐다. 총 전력 생산 용량은 650㎿로 144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중국신문망은 좡허 해방 풍력 발전소 가동으로 연간 54만t의 석탄 사용이 줄어들고 오염물질 배출량도 112만t 감소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보하이(渤海)만 일대 해양목장 건설도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중국 국가에너지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중국 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전력 생산 용량은 10억㎾를 넘어섰다. 이는 중국 전체 발전설비 총량의 43.5%에 해당되며 발전 유형별로 보면 수력 3억8500만㎾, 풍력 2억9900만㎾, 태양광 2억8200만㎾, 바이오매스 3534만㎾이다.
중국 최대 인공지능(AI) 기업 센스타임(상탕커지<商湯科技>)이 30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한다. 29일 중국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센스타임 공모가는 희망밴드 하단인 3.85홍콩달러(약 585원)로 확정됐다. 센스타임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총 15억 주를 새로 발행해 57억7500만 홍콩달러(약 8800억 원)의 자금을 확보한다. 시장 가치는 160억 달러(약 19조 원)로 추정된다. 2014년 매사추세츠공대(MIT) 박사 출신 탕샤오어우(湯曉鷗) 홍콩중문대학 정보기술 교수 등이 설립한 센스타임은 안면 인식, 영상 분석, 자율주행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 정상급의 AI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미국 정부는 인권 침해를 이유로 센스타임을 제재 대상에 올려놓고 있다. 2019년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정부의 신장 내 소수민족 탄압에 센스타임의 얼굴 인식 기술 등이 활용됐다며 미국 기업들이 센스타임과 거래할 수 없도록 하는 제재를 부과했다. 또 바이든 정부도 지난 10일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내 인권 유린과 관련된 투자 제한 블랙리스트에 센스타임을 올려 상장 절차가 일시 중단된 바 있다. 미국의 제재로 미국 자본의 투자가
내년부터 외국 자본이 중국에서 승용차 생산 공장을 설립할 때 중국 기업과 합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동안 중국에 진출한 모든 자동차 제조사, 예컨대 현대차 등은 중국 기업과 1대1의 합작사를 세워야 했다. 현대차는 베이징자동차와 합작해 중국 현대차 법인을 만들었다. 환구시보, 펑파이(澎湃)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내년부터 중국 승용차 제조 부문에서 외국인 투자 지분을 제한하지 않기로 한 '2021년 외상투자 진입 특별관리 조치'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자동차 업체의 성장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1월 기준 중국 내 주요 합작기업의 자동차 판매량은 78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23% 급감했지만, 중국 자국 브랜드 판매량은 83만 대로 2% 증가했다. 중국은 자국 자동차 산업 초창기인 1994년 ‘자동차 공업 산업 정책’을 발표하면서 완성차 제조 기업의 경우 외국인 지분이 50%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했었다. 이후 시장 개방 압력이 강해지면서 2018년 전기차 등 친환경차 지분 제한을 폐지했고, 2020년에는 상용차 지분 제한을 폐지했다. 중국은 현재 희토류, 담배, 영화 제작 및 유통 등 31개 부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