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저금을 가장 많이 하는 곳은 어딜까? 베이징? 상하이? 아니다. 광둥성이다. 광둥성은 중국에서 ‘공장’이 많기로 유명한 곳이다. 제조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 가장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베이징과 상하이는 정치와 금융의 도시다. ‘돈 놓고 돈 먹기’하는 업종보다 물건을 제조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게 역시 인류 역사상 가장 확실한 잉여가치 창출의 방법이다. 최근 중국 인민은행이 수치를 통해 광둥성 사람들의 저축 실태를 공개했다.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저축액이 는다는 만고의 진리가 다시 한 번 증명됐다. 광둥성 저축액 증가폭이 더욱 커졌다. 중국인민은행 광둥 지점이 '2023년 12월 광둥성 금융 통계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광둥성(선전 제외, 이하 동일)의 가계 예금은 총 12조 6600억 위안( 약 2359조 원)으로 집계됐다. 광둥성 상주 인구 1억 900만 명(선전 제외) 기준 1인당 예금은 약 11만 6300위안(약 2167만 원)으로 전년 동월(10만 4300위안) 대비 11% 증가했다. 또 광둥성 가계 예금 중 정기예금 잔액은 7조 1200억 위안으로 당좌예금 잔액 5조 5550억 위안의 1.28배
2025년 2월 28일 중국 하얼빈에서 개막하는 '제9회 동계아시안게임'의 슬로건, 엠블럼, 마스코트가 11일 공개됐다.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슬로건은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冰雪同梦,亚洲同心>)'으로 결정됐다. 해당 슬로건은 하얼빈과 동계올림픽을 상징하는 '빙설(氷雪)'을 토대로 아시아 국가간 교류 협력과 경제 발전을 촉진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 엠블럼은 ;초월(Beyond)'의 의미를 지니며 칭화대 예술디자인 아카데미팀이 제작했다. 해당 디자인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질주 자세와 라일락꽃(하얼빈의 시화) 및 아시아올림픽위원회 심벌 등의 요소를 결합해 탄생됐다. 목표에 끊임없이 도전해 아시아 동계 스포츠에 새로운 기여를 하겠다는 중국의 의지를 담았다. 대회 마스코트인 백두산호랑이(중국명 동북호랑이, 東北虎) 빈빈(滨滨)과 니니(妮妮)는 칭화대 예술디자인 아카데미팀이 지난해 9월 헤이룽장성 동북호랑이공원에서 태어난 동북호랑이 두 마리를 모티브로 제작했다. 해당 마스코트에는 동북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자연유산을 의인화해 '하얼빈은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중국 국무원 직속 중앙기업인 중국국영철도그룹(中国国家铁路集团有限公司, China Railway)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속열차 CR450의 시험운행을 올해 완료하고 2025년부터 상업 운행을 시작한다. 중국의 '고속철 굴기'가 머지 않은 미래 글로벌 고속철 시장을 리드하는 단계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지금도 세계 최대 철도망을 자랑하고 있다. 과거 어떤 나라보다 빠르게 전국에 고속철도망을 깔았고 세계 최장 구간의 고속철도망을 구축했다. 고속열차 개발 역시 유럽으로부터의 기술 이전 이후 중국 자체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며 글로벌 고속철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10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철도는 지난 9일 연례 업무회의에서 푸싱(復興) 고속철 시리즈의 최신 모델 CR450의 최대 시속 450㎞ 운행 테스트를 올해 완료하고 내년에 상업 운행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철도에 따르면 푸싱 고속철은 철도 노선에 따라 서로 다른 속도 체계로 운영된다. 고속철도 CR400(최대 시속 400㎞, 지속 속도 350㎞), 급행철도 CR300(최대 시속 300㎞, 지속 속도 250㎞), 도시철도 CR200(최대 시속 200㎞, 지속 속도 16
'2만 8526명' 중국 당국이 지난해 12월 농수산물 판매대 조명을 통한 신선도 착시 현상 유발에 대한 단속을 벌여 적발한 상인의 수다. "더 이상 사람의 눈을 조명으로 속이지 말라." 지난해 중국 당국이 농수산물 유통 및 판매 업자들에게 내린 명령이다. 이른바 '신선등(生鮮燈)' 규제 법안이다. 한국도 그렇지만 대다수 농수산물 판매대에는 제품을 가장 신선해 보이도록 만드는 다양한 색깔의 조명이 설치된다. 그런데 중국 당국은 이를 "착시 효과로 소비자들을 현혹시는 행위"로 규정하고 단속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첫 시행된 '신선등 사용 금지 규정'에 대한 단속 결과가 나왔다. 9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이 보도한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자료에 따르면 단속 시행 첫 달에 현지 시장 감독 부서들은 30만 건 이상의 제품을 검사해 농수산물 판매업자 2만 8526명에게 시정명령을 내리고, 시정을 거부한 이들에게는 과태료 62건을 부과했다. '신선등'은 과일, 채소, 육류, 생선 등 농수산물이 더 신선하고 먹음직스럽게 보이도록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는 조명기구를 의미한다. 지난해 6월 30일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신선등'이 식품의 외관을 미화
글로벌 사회가 갈수록 인문과 과학기술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 인문은 정체된 반면, 과학기술은 이미 인간의 상상을 넘어서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과거 과학기술은 인간이 이해하지 못했던 자연의 법칙을 발견해 정리하는 게 주업이었다. 현대에 와서는 인간의 상상을 구현해내는 일이 본업이 됐다. 인문학은 인간이 꿈을 꾸도록 하는 분야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인간의 꿈이 과학기술의 발전을 더 이상 이끌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과학기술이 인간이 꿈을 규정짓고 한계를 허무는 역할을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이제 인간은 더 이상 꿈을 꾸지 못하는 것일까? 많은 미래학자들은 대학 교육에 이 답이 달려 있다고 말한다. 전 세계 대학의 컴퓨터 과학 순위인 'CSRankings 2024'가 최근 발표됐다. AI(인공지능) 부문 Top 10 대학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칭화대 2위 베이징대 3위 상하이자오퉁대 4위 카네기멜론대 5위 저장대 6위 한국과학기술원(KAIST) 7위 중국인민대 8위 난징대 9위 싱가포르국립대 10위 푸단대, 하얼빈공업대 AI 부문 세계 1위는 중국 칭화대가 차지했다. 이어 베이징대, 상하이자오퉁대, 카네기멜론대, 저장대 등이 2~5위에 올랐다.
중국 안후이성 양자컴퓨팅공학연구센터와 안후이성 양자컴퓨팅칩핵심연구소가 3세대 독립형 초전도 양자컴퓨터 '번위안우쿵(本源悟空)'을 지난 6일 온라인에 공개했다. 중국이 첨단 기술의 총아로 여겨지는 분야에서 또 한번의 실력 발휘를 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AI(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 생명공학 3분야는 글로벌 미래를 좌우하는 신기술 영역으로 꼽히고 있다. 이 분야에서 나오는 신기술들이 인류의 생활 전반을 바꿀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전망이다. 실제 AI는 컴퓨터 활용과 관련, 인류의 지적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양자컴퓨터는 미래의 컴퓨터를 현존하는 슈퍼컴퓨터보다 1억 배 빠른 연산이 가능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를 위한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양자컴퓨터가 나오면 컴퓨터가 개발돼 인류의 생활을 바꿨듯 현존 인류의 모든 것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안후이성 양자컴퓨팅공학연구센터에 따르면 '번위안위쿵'은 현재 중국에서 가장 발전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초전도 양자컴퓨터로 72비트 독립형 초전도 양자칩 '우쿵칩(悟空芯)'이 장착되어 있다. 초전도 양자컴퓨터는 초전도 회로 양자칩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로 국제적으로는 미국의
제53회 중국국제가구박람회(China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CIFF 2024)가 오는 3월 광저우에서 2단계에 걸쳐 개최될 예정이다. CIFF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3월 18~21일에는 1단계로 가정용 가구 전시회가 열리고 3월 28~31일에는 ‘사무실&상업공간(Office and Commercial Space)’와 ‘CIFM/interzum 광저우’ 전시 행사가 진행된다. ‘Office and Commercial Space’는 최신 사무실 가구 디자인의 트렌드를 설정하고 최첨단 솔루션을 보여주는 전시로 잘 알려져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약 1100개 기업이 참가해 시스템 오피스, 스마트 오피스, 퍼블릭 상업 공간, 의료와 노인 돌봄 공간 등 다양한 주제의 가구를 다룰 예정이다. ‘CIFM/interzum 광저우’에선 중국은 물론 글로벌 유명 가구 브랜드들이 참여해 혁신적인 기술과 획기적인 제품을 소개한다. '미래와의 연결(Linking to the Future)'을 주제로 열리는 올해 전시에는 가구 생산 장비, 가구 하드웨어, 원자재 등이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가정용 가구의 소재와 디자인 미학에 영감을 불어넣어 줄
중국의 대표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알리바바와 징둥(JD.com) 간 손해배상 소송에서 징둥이 승소했다. 징둥과 알리바바는 중국을 대표하는 양대 인터넷 유통회사다. 이들은 글로벌 소비재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 경쟁하고 잇지만 무엇보다 중국 내부 유통 산업의 주도권을 놓고 다투고 있다. 이번 소송은 두 유통 거인의 법정 다툼이어서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아왔다. 일단 징둥이 법적 승리를 한 것이다. 중국 법원의 이번 판결은 향후 중국 기업들의 진출을 견제해야하는 한국 등이 참고할만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29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베이징고등인민법원은 "알리바바가 입점 업체들에게 알리바바와 다른 업체 중 하나만 선택하게 강요한 행위는 시장 지배력 남용에 해당한다"며 손배 소송을 제기한 징둥에게 10억 위안(약 1820억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징둥은 2015년 솽스이(双十一) 쇼핑 축제 당시 자사 입점사들이 알리바바의 양자택일 강요에 못이겨 플랫폼을 탈퇴했다며 당국에 알리바바를 반독점법 위반으로 신고했다. 또 2017년에는 알리바바와 자회사인 티몰(天猫)을 상대로 추가로 손배 소송을 제기했다. 중국시장감독관리총국은 2021년 4월 징둥의 주
중국 물류는 글로벌 최대 규모다. 자국 인구(소비자) 수도 세계 최대지만, 소비재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이 가속화하면서 글로벌 시장으로 이동하는 물류량이 갈수록 늘어가는 추세다. 최근 중국에서는 택배 물류와 관련 신기록 경신이 이어지고 있다. 이달에는 중국 택배 산업 규모가 처음으로 1200억 개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 택배는 '세계 공장'이라는 중국 소비재 제조업과 알리바바 등을 통해 구축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뒷받침해주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제조과정을 거쳐 판매가 이뤄진 제품을 소비자들의 문 앞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이 구축하는 글로벌 소비재 생태계의 모습이다. 중국 상하이사회과학원(上海社会科学院)이 28일 발표한 '중국 민간 특송 30년 발전 개요 및 미래 동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택배 물량은 지난 4일 기준 1200억 개를 돌파했다. 보고서는 중국 택배 산업이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에 힘입어 향후 3년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또 농촌 지역 배송 인프라 구축과 생산자(공장) 직송 시스템 확대도 중국 택배 산업의 추가적인 성장을 가져올 요인으로 꼽았다. 중국은 2022년말 기준 990개의
중국이 유전자변형(GM) 옥수수와 대두 종자의 육종 및 판매 규제를 사실상 철폐했다. 28일 차이신, 펑파이신문 등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농업농촌부는 지난 25일 공고를 통해 26개 기업에 유전자변형유기체(GMO) 종자를 생산, 유통, 판매할 수 있는 허가증을 발급했다. 중국 정부가 허가증을 발급한 업체에는 '위안롱핑(Yuan Long Ping)기술농업', '중국국가종자(China National Seed)'의 자회사인 '베이징 다베이농기술(Dabeinong Technology)' 등 중국의 대표적인 GMO 종자 업체들이 포함됐다. 또 중국의 주요 곡물 생산지인 허베이, 랴오닝, 지린 및 내몽골에서 운영되는 종자 업체들이 대부분 포함됐다. 이번 GMO 종자 판매 확대를 통해 중국은 대두 및 옥수수 수확량을 증가시켜 향후 미국과 브라질에서의 곡물 수입을 크게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의 대두 및 옥수수 수입국으로 가축 사료용으로 연간 1억t이 넘는 곡물을 수입하고 있다. 농업농촌부는 그동안 중국 각지에서 GMO 작물 시험 재배를 추진해왔으며, GMO 작물이 생산량과 병충해 저항력 측면에서 비GMO 작물에 비해 5~10%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