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6.9만 대’ 중국에서 올 1~7월 간 팔린 자동차 대수다. 같은 기간 중국에서 만들어진 차량 대수는 1823.5만 대를 기록했다. 만든 차보다 팔린 차가 많다는 것이다. 그만큼 판매량이 많았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그동안 중국 차들의 재고가 적지 않아 밀어내기 판매를 한다는 이야기도 어느 정도 사실이었던 것을 보여준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자동차 생산 및 판매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중국의 자동차 생산·판매는 각각 1823.5만 대와 1826.9만 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7%와 12% 증가한 수치다. 생산·판매 증가율은 올해 1~6월보다 각각 0.2%포인트, 0.6%포인트 확대됐다. 중국 매체들은 “자동차 내수 판매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7월 중국 자동차 생산·판매는 각각 259.1만 대와 259.3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3%와 14.7% 증가했으나, 전월 대비로는 각각 7.3%와 10.7% 감소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 부비서장 천스화는 7월에 자동차 산업이 전통적인 비수기에 접어들었고, 일부 자동차
지난 7월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 예측 평균치가 2.8%를 기록했다. 전월 발표치와 동일하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대 국민경제연구센터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7월 투자 예측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는 “중국 당국의 질적 발전 추구 정책에 따라 인프라 투자 건설은 여전히 활발하지만 이에 반해 외부 압박이 더해지고 기업 이익이 하락하면서, 기업들이 현금을 보유한 채 투자 방향을 모색해 투자 증가세를 일시적으로 억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근거해 올 2025년 1~7월 고정자산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해 이전보다 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민생은행 수석 경제학자 원빈은 1~7월 고정자산 투자 누적 전년 대비 증가율이 약 2.6%로, 16월의 2.8%보다 다소 낮을 것으로 보았다. 인프라 투자 측면에서, 일부 지역의 폭염·폭우·홍수 재해 등의 영향으로 7월 건설업 공사가 다소 둔화되었으며, 사업활동지수는 50.6%로 전월 대비 2.2%포인트 하락했었다. 선행지표로는 아스팔트 설비 가동률 평균이 31.8%로, 전월 31.2%보다 소폭 상승했다. 자금 측면에서는 투자 프로젝트용 신규 특수채 발행액이 3,00
지난 7월 사회소비 총액 증가율이 4.9%로 전월보다 0.1%p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 소폭이지만 증가세를 이어간 것이다. 중국 당국은 하반기에도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동원해 소비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에 따르면 제1재경 수석 조사에 참여한 경제학자들은 7월 사회소비품 소매총액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예측 평균치는 4.9%를 기록했다. 전월은 4.8%였다.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민생은행 수석 경제학자 원빈은 “여름방학이 시작되면서 주민들의 여행·오락 등 관련 서비스 소비가 빠르게 늘었다”며 “그러나 자동차 소비와 주택 소비는 줄어들어 소매 증가세를 끌어내렸다”고 분석했었다. 업종별로는 휴일 효과에 힘입어 철도 운송, 항공 운송, 우편, 문화·스포츠·오락 업종의 사업활동지수가 60.0% 이상 고경기 구간을 기록하며 업무량이 빠르게 증가했다. 임대·비즈니스 서비스, 생태보호·공공시설 관리 등 업종의 사업활동지수도 확장 구간에 있었고, 관광 관련 업종의 시장도 활발했었다. 중국 상무부 최신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25일까지 ‘구제품 교체 신제품 구매’ 정책 시행 이후 관련 상품 판매액이 누적 3조 위안(약 580조 7,700억 원)을 넘어섰
중국의 7월 부가가치가 6.%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기관들은 7월 제조업이 비수기에 접어들고 글로벌 수출 교란 등 요인이 겹치면서 공업 생산 증가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중국 당국은 오는 15일 7월까지의 중국 경제 현황을 종합 발표한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이 같은 당국의 공식 발표에 앞서 각종 전망치를 쏟아냈다. 제1재경 수석 조사 결과에 따르면 7월 산업부가치(공업 부가가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예측 평균치는 6.0%였다. 앞서 발표된 경기 선행 지표를 보면 제조업은 전통적인 생산 비수기에 들어갔다. 여기에 일부 지역의 폭염·홍수 재해와 수요 위축 등의 영향으로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3%로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중국의 제조업 PMI는 4개월 연속 경기선(50) 아래를 기록했다. 다만 비제조업 사업활동지수는 50.1%로 50이상을 유지했다. 전월대비 0.4%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흥업은행 수석 경제학자 루정웨이는 “7월 산업부가치가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었다. 한편으로 7월 수출이 견조해 외수(外需)가 생산을 계속 뒷받침했다”고 말했다. 그는 7월 주요 발전소 석탄 일일 소비량이 전년 동기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중국 광둥성과 장쑤성의 상반기 GDP총액이 7조 위안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31개 성 가운데 상반기 GDP ‘6조 위안 클럽’에 든 성은 이들 둘이 유일했다. 두 성에 이어 산둥성이 상반기 GDP총액 위로 5조 46억 위안(약 1,056조 8,922억 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1,2위와 3위의 격차가 1조 위안 이상 벌어진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각 성별 GDP 실적을 발표했다. 앞서 발표된 중국의 상반기 GDP 총액은 66조 536억 위안(약 1경 2,785조 원)이었다. 자료에 따르면 광둥성과 장쑤성은 모두 6조 6000억 위안(약 1,277조 5,620억 원)을 넘어섰으며, 광둥성이 6조 8725억 4000만 위안(약 1,330조 3,175억 원)으로 전국 1위, 장쑤성이 6조 6967억 8000만 위안(약 1,296조 2,957억 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산둥성은 3위로 5조 46억 위안(약 1,056조 8,922억 원), 저장성은 4위로 4조 5004억 위안(약 871조 1,424억 원)을 기록했다. 쓰촨성과 허난성은 각각 3조 1918억 2000만 위안(약 617조 8,40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구이저우 룽장의 ‘촌(村) 슈퍼리그’ 경기장에서 환호성이 계곡을 뒤흔들고, ‘쑤퍼리그’가 도심의 열기를 달군다. 우한 마라톤 참가자들이 창장대교를 가로지르며 도시의 숨결을 느낀다. 이 장면들마다 숨어 있어 싹 트고 있는 경제 생태계가 있다. 중국 당국이 주목하는 또 하나의 경제 생태계다. 바로 ‘스포츠 경기 경제’다. 중국 매체들은 들불처럼 전국을 휩쓸며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새로운 엔진으로 떠올랐다고 전하고 있다.. ‘스포츠 경기 경제’는 간단히 말해 스포츠 경기를 개최함으로써 관련 산업 전반의 발전을 견인하는 경제 형태를 뜻한다. 중국 매체들에 전하는 제5차 전국 경제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스포츠 산업의 총 규모는 약 3.7조 위안(약 713조 4,710억 원)에 달했다. 같은 해 발표된 산업 총규모 및 부가가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스포츠 경기 공연 활동 생산액은 752억 위안(약 14조 5,008억 원)으로, 2022년의 388억 위안(약 7조 4,818억 원)과 비교해 93.81% 증가했다. 이처럼 스포츠 경기를 핵심으로 하는 경제 구조는 수천만 명의 참가자를 끌어들여 도시의 관광, 외식, 숙박, 교통 등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며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3조 8,872억 위안’ 한화로 약 750조 1,907억 원 가량이다. 올 상반기 중국의 서비스 무역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8% 성장한 수치다. 중국 경제가 기존 제조 화물 수출에서 서비스 수출이라는 새로운 동력을 갖추고 있다고 중국 매체들은 평가했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비스 무역수지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의 서비스 무역 총액은 3조 8,872억 위안, 전년동기 대비 8% 늘었다. 그중 지식집약형 서비스 무역은 6%의 성장률로 지속적으로 선도했다. 상반기 지식집약형 서비스 수출입 총액은 1조 5,025억 위안(약 289조 9,674억 원)으로 서비스 무역 총액의 38.7%를 차지했으며, 그중 통신·컴퓨터 및 정보 서비스와 기타 상업 서비스가 각각 12.7%, 3.1%의 성장률로 세부 분야에서 선두를 달렸다. 이러한 성장은 생산성 서비스 산업이 ‘노동집약형’에서 ‘기술집약형’으로 심층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국 매체들은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 최첨단 기술의 돌파가 글로벌 협력 모델을 재편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이미 세계 서비스 무역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었다.”고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