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2만6000대, 1,274만8000대’ 중국의 올 1~5월 간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대수다. 한국 현대차의 지난 2023년 기준 국내 생산량은 190만대, 해외 생산은 244만대였다. 중국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서방 언론들은 이 같은 중국 자동차 산업이 과잉생산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 ‘악몽’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 자동차 산업 현황 데이터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1,282.6만 대와 1,274.8만 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7%, 10.9% 증가했다. 이 중 신에너지차의 생산 및 판매량은 각각 569.9만 대와 560.8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5.2%, 44% 증가했으며, 신에너지 신차 판매는 전체 신차 판매의 44%를 차지했다. 올 1~5월 중국의 자동차 생산 및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모두 10%를 초과해 증가했다고 협회는 밝혔다. 중국 매체들은 “자동차 산업 전반의 운영이 안정 속에서 호전을
올 5월 중국의 오프라인 소비 열기가 전년 동기 대비 26%가량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가전제품 온라인 소매액은 31.0% 증가했으며, 전국 프로젝트 낙찰 금액은 21.5%, 산업단지 생산 열기 지수는 21.2% 각각 증가했다. 징지참가오바오 등 중국 경제지에 따르면 국가정보센터 빅데이터발전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 소비 관련 데이터들을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 5월 중국의 오프라인 소비 열기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5.7%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5월 중국의 여러 소비 관련 고빈도 지표가 상승세를 보였고, 소비 전반은 안정적으로 호전되는 흐름을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오프라인 소비의 경우, 국가정보센터는 표본 상권의 유동 인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축한 오프라인 소비 열기 지수가 5월에 전년 동월 대비 25.7% 증가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소비 활력도 꾸준히 분출됐다. 국가정보센터는 생활 서비스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사용자 소비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생활 서비스 소비 열기 지수가 5월 전년 동월 대비 14.6% 증가했으며, 그 중 레저오락업은 28.8%, 숙박업은 12.1%, 외식업은 10.8%, 관광업은 2.3% 각
‘더 좋은 음악을…’ 삼성이 하만을 인수하면서 글로벌 오디어 산업의 강자로 부각한 가운데 이번엔 중국의 텐센트가 3조 원 가량을 투자해 온라인 오디오 산업의 주요 기업을 인수했다. 글로벌 오디오 산업의 경쟁이 더욱 격화할 전망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텐센트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이하 ‘텐센트뮤직’)은 최근 뉴욕증권거래소와 홍콩증권거래소에 공시를 내고, 시마라야 및 기타 여러 계약 당사자들과 시마라야 인수를 위한 합병 계약과 계획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오디오 업계의 선두주자인 시마라야는 결국 IPO(기업공개) 계획을 접기로 결정했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이번 거래의 총 거래 대금은 200억 위안(약 3조 8,13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IPO 추진 당시 300억 위안(약 5조 7,195억 원)을 상회하던 기업가치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였으나, 자본시장에서 IPO가 침체된 상황에서 시마라야가 인수합병을 통해 자산을 증권화한 것은 현명한 선택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거래에 대해 시마라야 창업자 겸 CEO 위젠쥔은 상하이증권보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시마라야는 초심을 잃지 않고, 소리로 인류의 지혜를 나누고, 소리로 아
‘3,002억 위안’ 한화로 약 57조 2,331억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중국의 팻 시장 규모다. 지난 2018년이래 매년 10% 가량 성장한 규모다. 중국의 팻 시장은 이미 세계 최대 규모다. 15억 중국인들 대부분이 애완동물 키우기를 즐겨한다. 차이징 등 중국 경제지들에 따르면 중국 도시지역의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 소비 시장 규모는 2018년의 1,708억 위안(약 32조 5,630억 원)에서 2024년 3,002억 위안으로 성장했으며, 이 기간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9.86%에 달했다 이 같은 추세에 힘입어 최근 중국 증시에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뚜렷한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난 6월 10일 현재 반려동물 경제 관련 종목이 시장 전반의 하락세 속에서도 강세를 보이며, 하루 상승률이 1.68%를 기록했다. 그중 텐위안펫(天元宠物), 중총주식(中宠股份), 이이주식(依依股份)의 주가는 각각 8.07%, 4.82%, 2.53% 상승해, 시장 자금이 ‘펫코노미(它经济)’에 주목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업계 관계자들은 자본시장의 열기가 반려동물 산업이 ‘소수 소비’에서 ‘천억 위안 규모의 블루오션’으로 변화하고 있는 근본적 흐름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6,400억 위안’ 한화로 약 121조 7,024억 원 가량이다. 중국에서 올 들어 4월까지 집행된 고용안정 대출 잔액이다. 이를 통해 530만 개 직업을 안정시키거나 새로 만들어냈다고 중국 당국은 밝혔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의 고용 안정 정책 집행 현황을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중국 당국은 누적 6,400억 위안이 넘는 고용안정 및 확대를 위한 특별 대출을 집행해 53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안정시키거나 새로 창출하도록 도왔다. 올 1분기에는 58.8만 개 기업에 35.2억 위안(약 6,693억 6,320만 원)의 고용안정 자금을 지원했다. 중국 당국은 “고용은 민생의 근본으로, 한쪽은 국민의 밥상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경제의 맥박과 이어져 있다.”라며 이 같은 민생 안정을 위해 재정 능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매체들은 이에 힘입어 “현재 고용 상황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1월부터 4월까지 도시 신규 고용이 꾸준히 증가했고, 도시 실업률 평균도 조절 목표보다 낮았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기업은 ‘안정기’로, 고용의 기본 틀을 지탱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글로벌 주요 투자은행들이 중국의 신용도를 높이고 나섰다. 앞다퉈 올 중국의 경제 성장률을 높이고 나선 것이다. 매번 성장률 전망치가 하락하는 한국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그만큼 중국 경제가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발 관세전에도 불구하고 선전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 미국과 관세협상에서 중국은 조금도 밀리지 않고 오히려 미국을 압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여러 국제 투자은행들이 2025년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 모건스탠리는 0.3%포인트, 노무라는 0.5%포인트, 골드만삭스는 0.6%포인트, UBS는 0.6%포인트, JP모건은 0.7%포인트를 각각 상향했다. 일반적으로 국제 투자은행이 한 국가의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하는 것은 시장 신뢰를 북돋우고, 외국 자본의 자산 배분을 유도하며, 소비 등 분야에 대한 낙관적인 분위기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국제 투자은행들이 중국의 성장률 전망을 일제히 상향한 이유는 무엇일까? 외부 요인으로는 중국의 무역 환경이 일시적으로 개선된 것이 주요 촉매로 작용했고, 내부 요인으로는 중국 경제의 탄력성과 활력이 국제 자본이 중국의 성장 가능성을 재평가하게 만든 핵심 요소였
‘1조 위안’ 올 2025년 기업이 직원 교육을 위해 지출하는 시장 규모다. 중국에서 기업 교육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기업은 한 나라의 경제를 이끄는 정부, 가계에 이은 세 축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경제 성장측면에서 보면 가장 굵은 줄기다. 기업이 성장해야 가계 소득이 오르고, 정부의 세수도 오르기 때문이다. 간단히 가계 소비자, 즉 개인은 기업이 주는 월급으로 세금을 낸다. 1인 기업이라 볼 수 있는 자영업자가 있지만, 이들 역시 기업 소득으로 가계 소득이 올라야 매출이 덩달아 오른다. 중국이 기업을 중시하고, 기업을 줄기로 정부와 가계를 각각의 가지로 여기는 이유다. 무엇보다 기업은 단순한 가계 소득원만이 아니다. 기업활동을 통해 개인은 사회적 교육을 받고 실행한다. 기업은 학습이자 실습의 장이기도 한 것이다. 중국에서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교육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시장 규모가 거의 1조 위안(약 190조 1,6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많은 기업들이 청년들에게 더 다양한 성장 공간과 발전 경로를 제공하고 있다. 메이디 그룹은 직원에게 다양한 교육과 프로젝트를 제공하며, ‘3단계 육성 체계’를
‘8,200억 위안’ 한화로 약 155조 9,230억 원 가량이다. 올 1분기 중국 베이징, 텐진, 허베이 등 소위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3개 지역의 소비재 매출총액이다. 중국 징진지 지역의 소비규모인 셈이다. 다만 전년동기 대비 0.6%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중국은 ‘이구환신’(구형 소비재를 신형으로 교체하도록 지원하는 재정정책)을 막대한 예산을 들여 지원하고 있다. 이미 해가 지나면서 이 정책의 ‘약발’이 거의 다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허베이성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징진지 1분기 소비재 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징진지 지역의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8,200억 위안(약 155조 9,2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했다. 노후 소비재 교체 정책에 힘입어 신에너지차 판매는 베이징과 허베이에서 각각 5.9%, 35.1% 증가했고, 스마트폰 판매는 톈진과 허베이에서 각각 19.5%, 85.2% 증가했다. 중국 당국은 징진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업 고도화를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 징진지 기초연구 협력 프로젝트 지침을 발표했다. 합성생
‘6조 4,000억 위안’ 한화로 약 1,207조 2,960억 원 가량이다. 올 1~5월 중국의 기계전자 제품 수출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0% 가까이 늘어난 금액이다. 기계 전자 제품은 무엇보다 미국이 강하게 규제하는 분야다. 다른 곳도 아닌 미국이 규제를 하는 분야에서 10%에 가까운 성장세를 이끌어 낸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해관총서는 이 같은 내용의 중국 수출현황 데이터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중국의 기계전자 제품 수출은 6조 4,000억 위안으로 전체 수출의 60%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했다. 그중 자동자료처리장비 및 부품 수출은 3.9% 증가했고, 집적회로(IC) 수출은 18.9%, 자동차 수출은 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노동집약형 제품 수출은 1.5% 감소했으며 전체 수출에서 15.6%를 차지했다. 수입 부문에서는 주요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자료에 따르면, 철광석 수입 평균 가격은 톤당 전년 대비 16.4% 하락했고, 원유는 10.6%, 석탄은 22.5% 하락했다. 같은 기간 기계전자 제품 수입은 전체 평균을 웃도는 증가율을 보였다. 1~5월 중국의 기계전자 제품
‘17조 9,400억 위안’ 한화로 약 3,384조 2,016억 원 가량이다. 올 1~5월 간 중국의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보다 2%를 훌쩍 넘는 증가폭을 보였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전 촉발 속에 나온 결과다. 기대 이상의 선방을 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해관총서를 이 같은 내용의 5웜말 현재 중국 상품 무역 수지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5월까지 중국의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은 17조 9,400억 위안(약 3,384조 2,01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증가율은 1~4월보다 0.1%포인트 빨라졌다고 밝혔다. 이 중 수출은 10조 6,700억 위안(약 2,012조 7,888억 원)으로 7.2% 증가했다. 다만 수입은 7조 2,700억 위안(약 1,371조 4,128억 원)으로 3.8% 감소했다. 중국의 무역수지가 다시 흑자폭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흑자는 미국의 무역전을 촉발시킨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적자를 해소하겠다고 나선 게 바로 ‘글로벌 보편관세’ 적용이다. 미국과 거래하는 나라들이 얻는 이익을 관세로